'동북아시아 조약 질서 형성과 인식의 변화' 학술회의 포스터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동북아역사재단은 9월 5일 '동북아시아 조약 질서 형성과 인식의 변화'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청일전쟁 이후의 시모노세키 조약(130주년), 러일전쟁을 종결한 포츠머스 조약(120주년), 그리고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된 을사늑약(120주년)을 맞아 기획됐다. 당시 동북아시아의 판도를 뒤흔든 역사적 조약들을 국제법적, 역사학적 관점에서 심층 분석하고, 새로운 질서에 대한 각국의 인식 변화를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이번 학술회의에는 국내외 저명한 국제법 및 역사 연구자들이 대거 참석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국제법 연구자로는 강병근(고려대), 오시진(강원대), 안종철(카 포스카리 대학교), 이서희(한국해양수산개발원)가 참여한다. 역사 연구자로는 김태웅(서울대), 도면회(대전대), 조재곤(서강대), 손성욱(창원대), 문일웅(국사편찬위원회), 신효승(동북아역사재단), 그리고 오가와라 히로유키(도시샤대학)가 함께한다.


국제법적 측면에서는 19세기 말 불평등한 국제법 체제와 제국주의, 러일전쟁 시기 국제 관습법과 을사늑약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1899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와 전쟁법의 변화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예정이다.

역사적 측면에서는 당시 한·중·일 삼국의 조약에 대한 인식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이후 조선 내각의 대일 관계 재정립, 청나라 말기 중국의 시모노세키 조약 서술 방식, 그리고 러일전쟁 후 일본의 자타 인식 변화, 특히 조선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했는지에 대한 발표가 진행된다.


종합 토론은 김태웅 서울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하며, 과거 역사로부터 현재 우리가 직면한 동북아시아 질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박지향 이사장은 "급변하는 국제 질서 속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찾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