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꺼워진 수비벽 '무실점'…미국 상대 가능성 입증한 홍명보호 스리백
미국과 원정 평가전에서 무실점…2-0 승리
'유럽파' 김민재·설영우 합류로 수비 안정감 더해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김도용 기자 =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개막을 약 9개월 앞두고 홍명보호가 '플랜B'로 세운 스리백에서 가능성을 봤다. 힘과 속도가 좋은 미국을 상대로 보여준 견고한 수비는 본선을 앞두고 홍명보호에 자신감을 주기 충분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7일(한국시간) 미국 뉴저지의 스포츠일러스트레이티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미국과 평가전에서 2-0 완승을 거뒀다.
홍 감독은 지난달 25일 소집 명단을 발표할 때부터 언급했던 스리백 전술을 들고 나섰다.
홍명보호는 지난 6월 북중미 월드컵 본선행을 확정하고 7월 국내에서 펼쳐진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에서 3경기 모두 스리백 카드를 꺼냈다. 아시아 예선에서는 강팀으로 분류되지만 월드컵 본선에서는 '언더독'인 한국 축구의 현실을 감안한 전술이다.
동아시안컵에서 홍명보호의 스리백은 1골만 내줬다. 상대한 중국, 홍콩의 전력이 약하긴 했으나 한국은 아시아 예선 내내 지적됐던 수비 불안에 대한 해답을 어느 정도 찾은 모습이었다.
그리고 홍 감독은 '본선 모드'의 시작을 알리는 9월 평가전 첫 경기부터 스리백을 가동했다. 동아시안컵 때 소속팀 일정으로 소집되지 못했던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설영우(즈베즈다), 백승호(버밍엄), 이한범(미트윌란) 등 유럽에서 뛰는 선수들을 기용하며 새로운 전술을 실험했다.
새로운 선수들이 합류한 한국은 동아시안컵 때보다 유연한 전술 형태를 보였다. 당시에는 수비 3명이 모두 수비 진영을 지켰는데, 이번엔 중앙 수비수인 김주성이 적극적으로 왼쪽 측면에서 전진해 순간적으로 공격 숫자를 늘리기도 했다.
스리백을 이번에 처음 접한 선수들은 초반 어색한 모습을 보였지만 빠르게 적응, 안정감을 더했다. 한국은 전방에서 강한 압박을 펼치고, 후방에서는 수비 블록을 두껍게 하면서 미국에 좀처럼 기회를 허용하지 않았다.
유럽파들이 합류한 뒤 처음으로 가동한 스리백인 만큼 아쉬운 모습도 몇 차례 나왔다. 빌드업 과정에서 연결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순간적으로 공간을 상대에게 내주는 모습을 노출했다. 경기 막판에는 집중력 저하로 위기도 맞이했다.
그러나 홍명보호가 유럽파들을 데리고 스리백 시스템을 훈련한 시간은 일주일도 안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모습이었다. 월드컵까지 기존의 포백 시스템과 함께 스리백 시스템에 대한 완성도를 높인다면 홍명보호는 더욱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