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식 문학선: 해방의 문학, 청춘의 상상력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미군정청 관료 설정식(1912-1953)은 한국전쟁 중 월북해 휴전회담 북측 통역관을 맡았다. 한국학중앙연구소는 남로당 숙청 과정에서 사형을 당하며 생을 마감한 설정식의 삶과 문학을 유기적으로 조망했다.


'설정식 문학선: 해방의 문학, 청춘의 상상력'은 희곡과 논평, 대담, 소설을 망라하며 미공개 자료와 주석을 덧붙여 새로운 연구의 출발점을 제시한다.

설정식은 해방 후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국내 최초로 완역하고 미군정청 관료로 활동했다. 동시에 조선문학가동맹의 일원으로 참여하며 엘리트 지식인의 면모를 보여주었지만, 한편으로는 조선공산당에 입당하는 등 이율배반적 행보로 주목을 받았다.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했다가 월북으로 이어진 경로 역시 그의 복잡한 사상과 선택을 드러낸다.


그의 문학적 궤적은 청춘과 시대의 고통을 담아냈다. 해방기에 출간한 시집 '종', '포도', '제신의 분노'는 시인으로서의 면모를 각인시켰고, 소설 '청춘'과 '한류·난류'는 시대 청년들의 갈등과 희망을 그려냈다. 특히 '한류·난류'는 미국 자본주의가 일본 제국주의를 지탱한다는 비판을 담으며 민족 해방을 세계적 약소민족의 문제로 확장했다.

1932년 등단작 희곡 '중국은 어데로'는 90년 만에 이번 문학선을 통해 다시 공개됐다. 일본 침략에 맞서는 중국 청년들의 투쟁을 그린 이 작품은 초기부터 그의 사상적 방향성을 보여준다. 연희전문학교를 최우등으로 졸업한 뒤 미국 마운트유니언대학과 컬럼비아대학에서 영문학을 수학하며, 세계 문학과 사상에 눈을 넓혔다.


설정식은 1912년 함경남도 단천에서 태어한 이후 경성에서 자라며 일찍이 시대의 소용돌이에 뛰어들었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 서울 시위에 가담한 이유로 경성공립농업학교에서 권고 퇴학을 당했다. 그로부터 이어진 중국과 일본, 다시 경성으로의 이동은 격랑의 한국 근대사 속에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는 고단한 발걸음이었다.

△ 설정식 문학선: 해방의 문학, 청춘의 상상력/ 설정식 지음/ 서승희·남은혜·안서현·정영진 엮음/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