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고정밀지도 반쪽짜리 수용… "보안 조치 가능하나 IDC 불가"
한국 정부에 축척 1대 5000 지도 반출 거듭 촉구… "고정밀 여부를 떠나 한국 지도 서비스에 반드시 필요"
양진원 기자
공유하기
![]() |
구글이 악화하는 여론을 고려해 타협점을 제시했다. 한국 고정밀 지도를 넘겨받을 시 중요 정보는 보안 조치를 수용하겠다고 했다. 국내 데이터센터 설치는 불가하다고 밝혀 반쪽짜리 개선책이라는 시각이 많다.
구글은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구글코리아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열린 구글 지도 서비스 간담회에서 한국 정부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크리스 터너(Cris Turner)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 및 정보 부문 부사장은 "구글은 한국에서 구글 지도의 기능 구현을 위한 지도 데이터 반출 신청과 관련, 그간 제기되어 왔던 우려 등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 정부와의 협력을 지속하는 한편 티맵모빌리티 등 국내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강화할 것"이라며 "위성 이미지 속 보안 시설을 가림 처리하는 것에 더해 한국 영역의 좌표 정보를 구글 지도의 국내외 이용자들 모두에게 보이지 않도록 조치하라는 한국 정부의 요구 사항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 지도는 한국의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해 왔으며 앞으로도 민관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다양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출을 요구한 축척 1대 5000 지도를 두고는 여전히 시각차가 컸다. 구글은 지난 2월 국토지리정보원이 제작한 축척 1대 5000 수치지형도를 해외로 반출해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국토교통부는 몇 차례 결정을 미루면서 심사를 거듭하고 있다. 구글은 해당 지도가 고정밀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일각의 우려가 지나치다는 입장이다. 국내 학계는 물론 국토지리정보원도 축척 1대 5000 지도가 '정밀 지도'라고 판단을 내린 상태다.
구글은 고정밀이 아니라는 주장을 떠나 해당 논쟁이 불필요하다고 전했다. 유영석 구글코리아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1대 5000이 고정밀 아니냐에 대한 생각에 차이는 있을 것 같은데 이를 떠나 1대 5000은 최소한 구글 지도가 한국에서 사용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했다.
국내 데이터센터 설치는 여전히 불가 방침을 전했다. 유영석 총괄은 "한국에서 데이터센터를 짓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국가기본도에 대한 프로세싱은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이뤄져야 된다"며 "구글 지도는 전 세계 20억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고 활용하기 때문에 엄청난 컴퓨팅 파워를 요한다. 그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에 분산된 데이터 센터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프로세싱을 해야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양진원 기자
안녕하세요 양진원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