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배송·발레주차"… 압구정2구역 미래도시 청사진 제시
재건축 사업에 첨단 로봇 솔루션 도입
이화랑 기자
공유하기
![]() |
현대건설이 서울 강남구 압구정2구역 재건축 사업 수주를 추진하는 가운데 이동과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주차를 아우르는 '로봇 친화형 아파트'를 제안했다. 압구정2구역을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로 발전시키겠다는 구상이다.
10일 현대건설에 따르면 단지 설계부터 로봇 운용을 통해 동선과 시스템을 최적화했다. 엘리베이터와 자동문, 통신망까지 로봇과 연동되도록 설계해 로봇이 단지 내 전 구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했다.
로봇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고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관제 시스템을 적용해 로봇 스스로 층간 이동과 문 개폐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단지 밖 도로에서 지하주차장과 공동현관, 엘리베이터를 거쳐 세대 현관문까지 완전 자율주행이 구현될 전망이다.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 그룹사 역량을 총결집해 입주민의 이동과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주차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한다.
단지 내부에는 현대차·기아의 '셔클'이 적용된 무인 셔틀이 운영된다. 셔클은 현대차그룹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으로 실시간 승객 수요에 따라 노선과 운행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단지 내 이동 효율을 높이고 교통 약자의 안전한 이동을 돕는다.
맞춤형 이동 서비스가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도 도입된다. 소형 자율주행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쇼핑 후 무거운 짐을 집 앞까지 실어준다. 안면인식 등을 통해 배달 사고 없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솔루션과 결합해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을 찾을 때 안내와 이동 기능까지 수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현대로템의 '무인 소방 로봇'은 고온과 유독가스 환경에서도 투입이 가능하다. 열화상 카메라와 특수 장비를 통해 소방 인력 진입이 제한되는 화재 현장에서도 신속히 대응한다.
'전기차 충전 로봇'은 차량이 충전구역에 진입하면 로봇 스스로 충전구를 열고 케이블을 연결한 뒤 충전을 진행한다. 충전이 끝나면 자동으로 케이블을 분리하고 차주에게 알림을 보낸다. 충전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과열이나 사고 위험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단지내 상가 주차장에는 현대위아의 '발레주차 로봇'이 적용될 예정이다. 지정된 위치에 차량을 세워두면 로봇이 바퀴를 들어 올려 빈 공간에 주차시키는 방식이다. 좁은 공간에서도 정밀 이동이 가능해 동일 면적에 더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은 차별화된 로봇 솔루션이 적용된 최초의 도시"라며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며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가 적용된 미래 주거 문화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화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