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진출 본격화' 오픈AI "한국 AI 대전환 돕겠다"
오픈AI 코리아 공식 출범… 서울대와 손잡고 학계와 연구 협력 시동
양진원 기자
1,450
공유하기
![]() |
오픈AI(OpenAI)가 10일 아시아 세 번째 지사인 오픈AI 코리아의 공식 출범을 발표하며 한국의 AI 대전환을 위해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오픈AI 코리아는 아시아에서 세 번째 전 세계에서 12번째 오픈AI 지사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10일 오전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오픈AI코리아 출범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고 말했다.
오픈AI는 한국을 차세대 글로벌 AI 허브로 선택했다. 한국은 오랜 기간 기술 강국으로서의 명성을 쌓아왔으며 첨단 인프라, 세계적 수준의 혁신 주도 기업 그리고 기술 친화적인 소비자들이 조화를 이루는 독보적인 '풀스택(full-stack)' 생태계를 갖추고 있어 AI 발전의 최적지로 손꼽힌다.
2022년 출시한 AI 챗봇 서비스 '챗GPT'는 최근 주간 활성 사용자 수 7억명을 돌파했다. 특히 국내에서는 챗GPT 주간 사용자가 1년 전보다 약 4배 늘었고 유료 구독자 규모도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다.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사용 측면에서는 전 세계 국가 중 10위 권 내에 포함돼 있다.
오픈AI코리아는 한국 산학계,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국가의 AI 주도형 미래를 가속화하고 AI 대전환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이미 한국의 주요 기업들과의 협력하고 있다. 지난 2월 카카오와 전략적 제휴 이후 챗GPT와 카카오 생태계와의 연동을 준비하고 있다. 건설, 전자, 통신, 금융, 여행, 게임, 이커머스,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오픈AI 'GPT-5' 등 최첨단 AI 기술을 도입했다.
오는 11일 서울대와 업무협약(MOU) 체결을 시작으로 학계와의 연구 협력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오픈AI 포 컨트리즈' 이니셔티브를 통해 한국 정부와의 협력도 한층 강화한다.
오픈AI는 스타트업 생태계 역시 중점 분야 중 하나로 꼽았다. 지난 2월 국내 최초 개발자 워크숍인 빌더랩을 개최한 데 이어 오는 12일 파운더스 데이를 열어 스타트업, 개발자, 밴처캐피탈(VC) 간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11월에는 개발자와 스타트업, AI 연구자들을 한 자리에 모아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를 국내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와의 동반 성장도 추진 중이다. 오픈AI 영상·이미지 도구 활용 워크숍인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에는 21명의 국내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했다. DDP 서울라이트 가을 행사에서는 '소라(Sora)'로 제작된 미디어아트를 DDP 외벽에 투사하며 AI를 활용한 예술 표현의 사례를 남기기도 했다.
권 CSO는 "OpenAI가 첨단 기술과 다양한 협력을 통해 산업, 학계, 정부 전반에서 한국의 AI 전환을 위한 혁신을 함께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양진원 기자
안녕하세요 양진원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