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청사 전경. /사진제공=동두천시


동두천시가 오랜 숙원이었던 악취, 대기질 저하, 안전 사각지대 등 복합적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안전 분야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안심도시' 조성에 시동을 걸었다.


단순한 기반 시설 개선을 넘어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이번 전략은 행정 주도가 아닌 시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12일 한국자치경제연구원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동두천시는 축산 악취와 노후 하수처리시설, 방치된 빈집 등으로 인한 복합적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봉암동, 탑동, 생연동 등은 장기간 악취 민원이 지속되고 있으며, 방치된 빈집은 범죄 및 안전사고의 잠재적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 같은 진단은 시민 의견과도 일치했다. 220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빈집 정비 필요성 응답이 14.8%에 달했으며, 시민들은 골목길 CCTV와 야간 조명 확대, 하천 정비 및 산불 예방시설 확충 등도 공통적으로 제안했다.

연구원은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 기반 조성 △재난·재해 예방과 생활 안전 강화 △주민참여형 환경안전 거버넌스 구축이라는 세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시는 축산농가에 악취저감시설을 설치하고, 노후화된 하수처리장에는 최신 기술을 도입해 악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침이다. 또한 범죄 취약 지역에 생활밀착형 방범 CCTV를 확대 설치하고, 빈집을 '생활환경 취약지'로 분류해 맞춤형 안전 조치를 시행하는 등 생활 안전망을 촘촘히 할 계획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주민참여형 거버넌스 구축이다. 시는 환경 모니터링 체계를 도입하고 자율방재단 활동을 강화해 민관 협력 재난 대응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는 행정 일변도의 정책이 아닌 시민과 함께 도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한 집중호우에 대비한 하천 준설 및 빗물펌프장 용량 보강, 산불 예방 감시카메라 설치와 기상 데이터 연계 조기경보체계 구축이 제안됐다. 장기간 방치된 빈집은 악취·불법투기·범죄 유발 등 복합적 위험 요인이므로 생활환경 취약지로 분류해 방범 인프라 보강, 임시 안전조치, 환경정비를 병행하는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함께 제시됐다.

박형덕 동두천시장은 "환경과 안전은 행정 영역이 아니라 시민 삶의 본질"이라며 "이번 전략을 바탕으로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 쾌적한 환경 속에서 머물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