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7월23일 오전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7+2 민생회복 지원 정책보고회'에 참석해 시, 자치구, 유관기관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는 침체된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9월 현재 총 480곳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전국 1083곳 중 44%를 차지하는 전국 최대 규모로 서울(137곳)·경기(135곳)·인천(40곳)을 합친 수도권 전체 상점가 수(312곳)보다 많은 수치다.

광주시는 지난 7월 다섯 개 자치구와 유관기관을 포함한 12개 단체와 '골목형상점가 광주 전역 확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불과 두 달 만에 261곳을 새로 지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를 위해 각 구청에 현장 지원단을 5~10명씩 배치, 상인들을 직접 찾아가 지정 신청과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 등을 밀착 지원했다.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과 정부·지자체 지원 사업 참여가 가능하다. 이는 소비자들의 부담을 덜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를 도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제 효과도 뚜렷하다. 광주지역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9월 현재 2만1798곳으로 6월 말 1만3025곳에서 두 달 만에 67% 증가했다. 온누리상품권은 기본 10% 할인 혜택에 더해 환급 행사 시 추가 10%가 지원되며 특별재난지역인 북구와 광산구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 30%에 달하는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광주시는 11월부터 가맹점에서 결제 시 소비액의 5%를 환급하는 자체 프로그램도 시행할 계획이다.

소비 촉진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도 강화됐다. 이달부터 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이 기존 7%에서 13%로 확대돼 개인당 월 최대 6만5000원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특별재난지역은 여기에 추가 5% 캐시백까지 적용된다.


또 공공배달앱 할인 쿠폰 지원액도 주말·명절뿐 아니라 평시에도 확대돼 음식점 매출 회복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자금난 해소를 위한 금융지원도 주목된다. 올해 광주시는 소상공인을 위한 특례보증 규모를 1700억원으로 확대해 업체당 최대 5000만원 대출을 지원하며 1년간 3~4%의 이자를 보전한다.

더불어 시와 공공기관은 '1대1 매칭 소비촉진' 프로그램을 추진해 지정된 골목상권의 식당을 월 2회 이상 이용하거나 장보기를 실천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일상적 소비문화로 정착시키고 있다.

주재희 시 경제창업국장은 "골목상권은 시민의 삶과 직결된 민생 현장"이라며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정책으로 골목경제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