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AI를 활용한 치안정책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 참석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이인선 국민의힘 국회의원실



국회의원연구단체인 인공지능포럼(대표의원 이인선)은 지난 17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AI를 활용한 치안정책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세미나를 갖고 미래형 치안정책의 청사진을 공유했다.


이번 세미나는 AI 기반 드론, 로봇, 영상분석, 예측기술이 범죄예방과 재난 대응에 기여하는 현황을 살펴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사회 구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에는 이인선 국회 AI 포럼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도읍 정책위의장, 유상범, 윤상현 의원 등 여·야 19명의 국회의원이 참석했으며 경찰청·학계·산업계 전문가 150여 명이 함께했다.


이치화 경찰청 AI정책계장은 '경찰청이 그리는 AI 기반 치안혁신 로드맵' 제목의 발표에서 "AI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범정부 거버넌스, 데이터·인프라 통합, 윤리 지침,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순찰드론 도입 등 5대 전략을 제시했다.

박혜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장은 "현장은 초거대 모델만이 아니라 경량화·온디바이스 AI, 멀티모달 위협탐지 기술을 필요로 한다"며 "112·119 긴급 대응 시스템에 AI를 결합해 국민이 체감하는 치안 혁신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동균 대구한의대 교수는 "AI를 활용하는 경찰이 그렇지 않은 경찰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범죄예측 기반 순찰·자원 배치, 드론을 활용한 농촌 치안, 군중밀집 조기경보 CCTV 등을 제시했다.

이인선 의원은 "AI 치안시스템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예산과 법·제도적 기반을 꼼꼼히 챙기겠다"며 "이번 세미나가 안전사회로 가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