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일 순창군수와 기본사회 T/F팀이 18일 군청 회의실에서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도입을 위한 실무회의를 하고 있다./사진=순창군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계획을 내놓으면서 전북 순창군이 시범사업 선정을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18일 순창군에 따르면 이번 시범사업은 전국 69개 인구감소지역 중 6곳을 선정해 주민 1인당 월 15만원, 연간 180만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국가사업으로 공모 절차를 거쳐 10월17일 최종 대상지가 확정된다.


순창군은 일찍이 사업 도입을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해 왔다. 지난 5월 실무회의를 시작으로 예산 분석을 진행했으며 7월에는 전북 최초로 전담조직인 '기본사회 T/F팀'을 신설했다.

이어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순창형 농촌기본소득' 모델을 구상하고, 관련 조례 제정과 추진단 구성을 통해 행정적·제도적 기반을 갖췄다.


7월부터 9월까지 국회와 중앙부처를 14차례 이상 방문해 사업 필요성을 적극 설명하는 등 발 빠른 행보를 이어왔다. 실행 모델 완성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오는 19일에는 범군민 포럼을 24일에는 국회에서 열리는 농촌기본소득 우수사례 포럼에 참여해 최영일 군수가 직접 순창군의 복지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군은 민선 8기에서 축적한 보편적 복지 행정 경험을 토대로 시범사업 추진을 체계적으로 준비해 왔으며 사업 유치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최영일 순창군수는 "농촌 기본소득은 순창군 보편적 복지 정책의 완성 모델"이라며 "시범지역 선정을 통해 농촌의 구조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국가 균형발전의 주축이 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