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추가 정보 유출 피해 없을 것… 위약금 면제 여전히 검토 중"
조사 강도 높인 KT, 추가 정보 유출 발견
"올해 내년 보안 투자 재배치할 생각도"
양진원,
한채연 기자
공유하기
![]() |
KT가 자체 조사 결과 추가 정보 유출을 확인하고 재발 대책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1차 발표 결과를 번복해 이용자들의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조사를 마친 만큼 더 이상의 정보 유출 피해를 없을 거라고 전했다. 다만 번호이동 시 위약금 면제 부분은 여전히 '전향적인 검토 중'이라는 입장이다.
KT는 18일 광화문 소재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2차 브리핑을 열고 해킹 피해 고객수와 정보 유출 범위 확대됐다고 밝혔다. 1차 브리핑에서 해당 고객 가운데 5561명의 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만 유출됐다고 전했지만 추가 조사에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고객 2만여명의 개인정보 가운데 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폰 번호 등 3가지가 탈취당한 것을 파악했다.
기존 상품권 소액결제 피해 외에도 교통카드 등 다른 유형의 소액결제 피해 사례를 추가로 확인했으며 피해 고객 수는 당초 278명에서 362명으로 누적 피해 금액은 2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
KT는 그동안 1차 발표 때 VOC(고객 문의) 기반의 조사 결과에 신뢰도를 더하기 위해 6월부터 ARS 인증을 거친 소액결제 건을 전수 조사하고 결제 패턴과 통화 패턴을 결합해 면밀히 분석해왔다. 이 중 불완전 로그가 발생한 사례를 선별한 뒤 해당 고객이 접속했던 초소형 기지국 정보를 종합해 의심 대상을 추려냈다.
특정 시간대 비정상적으로 많은 접속이 발생하거나 소액결제가 짧은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몰리는 경우 등 비정상 유형을 기준으로 데이터 분석을 거쳐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를 검출해냈다.
추가 피해 발생 없을 것… 위약금 면제 여전히 고심
![]() |
이 같은 VOC를 통한 검증방식을 채택한 만큼 추가 피해 사례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은 이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검토했다"며 "(추가 정보 유출은) 더 이상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재형 네트워크 기술본부장은 "사고를 접했을 때 피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집중했다"며 "이후 합동조사단과 분석 범위를 넓혀가는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용자의 휴대폰이나 환경에 따라 완전히 분석이 안 돼 불법 무선 기지국 수신한 분을 고객정보 보호 대상자로 결정했다"며 "결과를 번복해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번호이동 시 위약금을 면제하는 방안은 여전히 고민 중이라고 했다. 김영걸 본부장은 "위약금 면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일전에 말씀드렸고 조치를 취하고 이를 안내하는 데 주력하겠다"며 "추가 보상할 시점까진 모르지만 고객의 입장에서 신속하게 검토해서 말할 것"이라고 전했다.
ARS 인증 없이 소액결제가 된 부분에 대해선 여전히 경찰 조사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구재형 본부장은 "ARS 인증이 이뤄지려면 이름과 생년월일 넣어야 해서 확실하게 모르지만 경찰 조사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처럼 유심보호서비스를 자동가입 시키는 방안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영걸 본부장은 "유심보호서비스는 강제로 한다는 자체를 원하지 않는 고객도 있다"며 "강제로 한다는 건 급박한 사항 없다면 고객이 원할 때 한다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과거 밝힌 보안 투자 계획을 올해와 내년에 집중적으로 시행할 계획도 내비쳤다.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은 "몇 달전 1조원의 보안투자를 약속했고 상당한 큰 규모"라며 "이번 이슈가 발생했을 때 올해와 내년 모바일 서비스와 보안 투자에 재배치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황 실장은 "인프라의 노화도 있지만 프로세스도 있다"며 "보안 거버넌스를 강화하려는 생각"이라고 했다. KT는 지난 7월15일 서울 광화문에서 'KT 고객 안전·안심 브리핑'을 열고 고객 정보 보호를 위해 향후 5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안녕하세요 양진원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