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은 파업 안 하니까… '노란봉투법·4.5일제'에 힘 받는 로봇주
노동 이슈와 정책 지원으로 로봇주 상승장 연출
실제 현실과 간격 있어…"중장기적 관점서 투자해야"
이동영 기자
14,617
공유하기
![]() |
정부의 정책 지원과 주 4.5일제 도입 추진에 로봇주가 포털 종목 검색 순위 상위권에 포진하는 등 힘을 받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등에 로봇 관련 내용이 빠지며 상승 모멘텀이 부재했지만 최근 정부 방향성이 로봇 부문 전반에 긍정적이란 분석이다.
19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이날 로봇주는 장 초반 주춤했지만 오후 들어 상승세로 전환했다. 로봇주는 올 상반기 보합세를 보이다 하반기 정부가 잇따라 정책을 발표하자 크게 상승한 후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국내 로봇 대장주로 꼽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장초반 전날 대비 6500원(2.20%) 가량 빠졌다가 반등하며 1만4000원(4.73%) 오른 31만원에 장을 마쳤다.
두산로보틱스도 전일 대비 1600원(2.46%)까지 하락했다 다시 상승 전환해 1400원(2.15%) 오른 6만6400원에 마감했다.
로보티즈 역 장 초반에 살짝 하락했지만 힘을 받아 전일 대비 2만4100원(21.50%) 오른 13만6200원에, 유진로봇과 나우로보틱스 역시 장초반 1~3% 감소했다가 각각 0.68%, 1.55% 오른 1만1900원, 2만6150원에 장을 마쳤다.
이처럼 로봇주가 강세를 보인 건 정부 정책 기대감이 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K-휴머노이드 얼라이언스'를 발족하고 실제 로봇 업체들을 얼라이언스에 포함시키고 있다. 투자 규모는 5년간 1조원 수준인데다 참여 업체도 늘고 있다. 정부의 지난 8월 경제 성장 전략에도 AI로봇이 포함됐다.
특히 노동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수혜주로 로봇주가 지목되며 주가는 가파르게 상승했다. 지난달 25일 노란봉투법이 국회를 통과하며 산업용 로봇의 현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이에 로봇주들은 평균 10% 상승했다. 여기에 정부가 4.5일제 도입을 논의하자 상승 흐름이 힘을 받았다. 관련업계에선 기업의 노동 의존도를 줄이면서 생산성을 유지할 해법으로 로봇 투자가 주목받으며 기대 심리가 커진 것으로 풀이한다.
스터닝밸류리서치는 9월 1일 보고서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로봇주를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대표적인 수혜주"라고 밝혔다. 오준호 연구원은 "노동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이나 자동화 설비 도입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 관측했다. 또 "정부가 지난 8월 22일 '피지컬 AI 1등 국가'와 '5년 내 휴머노이드 3대 강국 도약'이란 목표를 세웠다"며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에게 긍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