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4.5일제 촉구' 금융노조 "26일 총파업… 더 기다릴 수 없어"
강한빛 기자
공유하기
![]()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오는 26일 총파업을 앞둔 가운데 "시대의 흐름은 노동시간 단축과 일터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며 사측의 교섭을 촉구했다.
24일 오후 2시 금융노조는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합원은 오는 26일 총파업에 돌입한다"며 "이는 수개월간 이어진 교섭에서 사측이 끝내 책임 있는 답을 내놓지 않은 결과"라고 주장했다.
금융노조에 따르면 전날(23일) 오후 2차 대대표 교섭이 결렬되자 총파업을 확정했다. 지난 1일 진행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는 투표율 97.1%, 찬성률 94.98%를 기록했다. 은행권 총파업은 2022년 9월 이후 약 3년 만이다.
금융노조는 ▲주 4.5일제 전면 도입 ▲임금 5% 인상 ▲신입사원 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한다. 올해 3월 산별중앙교섭 요구안을 제출한 뒤 금융산업사용자협회와 38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
금융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은행과 금융지주들의 수익은 해마다 확대돼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배당은 늘렸지만 그 이익은 노동자의 희생과 고객의 불편 위에 쌓인 것"이라며 "금융산업의 성장은 노동자를 갈아넣어 만들어낸 왜곡된 성장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노동자들의 임금인상률 역시 여전히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면서 "노동의 강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금융지주의 이익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지만 우리는 매년 실질임금이 삭감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총파업의 최대 변수는 은행권의 실제 참여율이다. 2022년 총파업 당시엔 산업은행 이전 문제와 공공기관 예산 삭감이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시중은행 참여율은 9.4%에 그쳤고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참여율은 0.8%에 불과했다. 이번에는 주 4.5일제처럼 금융권 전반에 직접 영향을 미칠 사안이 걸린 만큼 참여율이 더 높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금융노조는 "우리의 총파업을 막을 수 있는 길은 단 하나, 사측이 성실히 교섭에 임하는 것"이라면서 "10만 조합원의 단결된 힘으로 반드시 새로운 길을 열어내겠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한빛 기자
머니S 강한빛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