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중국 항저우시와 글로벌 AI협력 '맞손'
강기정 시장, 루산 저장성 부성장 면담…우호도시 협정 추진
광주=정태관 기자
공유하기
![]() |
대한민국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시가 중국 항저우시와 손잡고 글로벌 AI 협력에 나선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4일(현지시간) 저장성 항저우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루산 부성장, 최런시엔펑 부비서장, 구젠신 외사판공실 주임 등 중국 주요 인사들과 만나 국가 주도의 AI 성장 전략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인프라-인재-기업'이 결합된 AI 생태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초거대 컴퓨팅센터를 기반으로 기업과 인재가 함께 성장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모색했다.
강 시장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항저우의 정책과 기업·인재·공간이 함께 어우러진 시스템은 광주가 지향하는 길과 같다"며 "AI 2단계 사업과 1조 원 규모 창업펀드를 통해 '모두의 AI'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루산 부성장은 항저우 혁신기업들의 성장 경험을 공유하며 "미래는 인류가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한국의 경험에서도 우리가 배울 점이 많다. 광주시와의 교류 협력이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강 시장은 항저우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 환영 만찬에도 참석해 아랍에미리트 등 주요 인사들과 교류하며 광주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넓혔다.
특히 야오가오위안 항저우 시장과의 면담에서 인재·기업 간 교류 활성화를 제안했고 항저우 측이 긍정적으로 응답하면서 두 도시는 실무 협의를 거쳐 공식적인 우호도시 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AI 이노스페이스 조성 등 2단계 사업에 항저우의 성공 사례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이미 1단계 사업에서 4269억원을 투입해 AI 데이터센터를 구축, 1166개 기업·연구소에 컴퓨팅 자원을 지원했다. 또 AI 영재고, AI 사관학교, AI 대학원 등 교육 인프라를 촘촘히 마련해 160개 기업의 이전을 이끌었다. 창업 생태계도 빠르게 확장해 5000억원 목표를 조기 달성(6192억원)했으며 G-유니콘 기업 15곳을 배출하며 혁신도시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저장성과의 협력 채널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광주시는 글로벌 AI 협력의 거점 도시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 강기정 시장은 이번 방문을 통해 AI 중심도시 전략을 글로벌 표준에 맞게 고도화한다는 구상이다.
대표단은 25일에는 항저우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에 참가해 전 세계 1600여 기업과 4만여 참가자가 모이는 자리에서 최신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혁신기업과 교류한다. 이어 중국 AI 인재 양성의 요람인 저장대학교 총장과 만나 교육 및 연구 협력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정태관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