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지만, 해당 기업과 중국 간 거래가 많지 않아 실질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 필라델피아 한화 필리조선소를 방문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중국 정부가 한·미 조선 협력의 핵심인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다. 한화오션과 중국 기업 간 거래가 많지 않아 실질적 피해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협상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미·중 간 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 조치 역시 정치적 메시지에 가깝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14일 "중국 해운·물류·조선업에 대한 미국 무역법 제301조 조사에 대응하기 위해 '한화오션 주식회사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 조치 결정'을 공표했다"고 밝혔다.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가 미국 정부의 관련 조사 활동을 지원해 중국의 주권, 안전, 발전 이익을 해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발효일은 이날 즉시로 대상 기업은 ▲한화쉬핑 ▲한화 필리조선소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쉬핑홀딩스 ▲HS USA홀딩스 등 총 5곳이다. 해당 기업들은 앞으로 중국 내 기업·개인과 거래나 협력 등의 활동이 금지된다. 한화오션 측은 중국 정부의 발표 내용을 인지하고 있으며, 해당 조치가 미치는 사업적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상무부는 이번 조치와 관련해 한국 정부에 사전 통보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 조치를 사전에 고지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방문한 한화 필리조선소를 제재 대상에 포함한 점을 고려할 때, 한·미 조선 협력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한화오션이 현지에서 운영 중인 필리조선소는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업계는 향후 제재 확대 가능성을 주시하면서도 한화오션의 실질적 피해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재 대상이 중국과의 연관성이 낮은 미국 사업부로 한정돼서다. 자회사 5곳 중 실제 영업활동을 하는 곳은 한화해운과 필리조선소에 그친다. 나머지는 지주사 성격의 법인으로 중국 기업과의 직접적인 연관이 적다는 설명이다.


중국이 필리조선소나 한화쉬핑에 발주한 사례도 없다. 한화쉬핑이 필리조선소에 발주한 유조선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은 모두 미국 내 발주에 해당한다. 필리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선박은 미국의 자국 조선업 보호법인 '존스법(Jones Act)'의 적용을 받는데, 미국 연안 위주의 영업 활동이 목적으로 중국 항만에 입항할 가능성이 희박하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한화오션에 선박을 발주한 사례가 전혀 없어 이번 제재의 실질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며 "한·미 조선 협력의 상징적 존재이기 때문에 정치적 타깃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 갈등이 해운·조선업으로까지 번지고 있지만, 양국이 주고받는 제재의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도 있다. 앞선 미국의 '중국산 선박 입항 수수료' 부과 역시 중국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다. 중국산 선박을 운항하던 글로벌 해운사들이 노선을 미국 외 지역으로 돌리거나, 한국·일본산 선박을 투입해 수수료 부과를 회피할 수 있어서다. 중국 조선소들의 글로벌 시장 지배력도 여전히 견고한 상황이다.

이번 제재는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협상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중국의 전략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정치적 의미가 큰 만큼 정부도 신속한 대응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지난 14일 입장문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중 통상 채널을 가동해 소통 및 대응 중"이라고 전했다.

이어 "해당 기업들과 중국 간 거래가 많지 않아 당장의 영향을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나 계속 예의주시할 예정"이라며 "마스가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 등은 이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