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석 금투협 회장이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위한 업계의 직접 행동을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개회사를 하는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 /사진=곽우진 기자


금융투자협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이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증권업계 역할 및 성장전략'을 주제로 공동 세미나를 열었다.


15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자본시장을 기반으로 한 생산적 금융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증권업계의 역할과 성장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개회사를 맡은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최근 정부는 '생산적 금융 대전환'이라는 아젠다를 통해 생산적 분야로 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규제 개선과 정책 지원에 힘쓰고 있다"며 "우리 금융투자업계는 정부의 취지에 깊이 공감하며 이제는 업계가 직접 행동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생산적 금융은 높은 리스크를 감당해야 하는 대규모 투자가 핵심이기 때문에 증권업계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내년부터는 IMA(종합금융투자계좌)·발행어음·BDC(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제도를 적극 활용해 혁신·첨단기업에 대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러한 노력이 시너지를 내기 시작하면 자본시장 도약이자 '코스피 5000 시대'를 여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세완 원장이 혁신기업들의 성장을 위해서는 증권업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동영상으로 인사말 전하는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 원장. /사진=곽우진 기자


인사말을 맡은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 원장은 IMF 출장으로 인해 영상으로 대신했다. 김 원장은 "우리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AI·바이오·반도체 등 신성장 산업을 이끄는 중소벤처 혁신기업들이 핵심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들 기업은 단순히 고용을 창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생산성 혁신을 통해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할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 R&D 투자와 무형자산 중심의 사업 구조를 고려할 때, 전통적인 은행 중심의 신용공급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바로 이 지점에서 증권업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증권사가 벤처기업의 위험을 분산하고 시장 참여자와 연결하는 핵심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주장했다. 김 원장은 "VC(벤처캐피털)펀드 출자·프리IPO·하이일드 채권 발행 주선 등 다양한 자본시장 수단을 통해 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형 자금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도 이를 인식해 지난 7월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발행어음 조달액 25%를 국내 모험자본 공급에 의무화했고 BDC 제도 도입으로 일반 국민이 벤처기업의 성장 과실을 공유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며 "최근 증권사의 모험자본 투자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여전히 확대 여지는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