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대구 엑스코(EXCO)에서 '자율주행 서비스의 미래와 현실'을 주제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사진=한국자동차기자협회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는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KIAPI)과 22일 대구 엑스코(EXCO)에서 '자율주행 서비스의 미래와 현실'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22일부터 25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나흘간 열리는 '2025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주제 발표와 패널 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이어졌다.

심포지엄에서는 ▲유민상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상무의 '로보셔틀에서 로보택시로: 자율주행의 현실적 상용화 전략' ▲허재호 HL로보틱스 팀장의 '자율주행 주차로봇과 스마트 주차장' 발표가 진행됐다.


패널 토론은 장정아 아주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두 명의 발제자와 임월시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정책과장, 권순 퓨처드라이브 대표, 오종훈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오토다이어리 대표)이 참여해 자율주행 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논의했다.

첫 발제를 맡은 유민상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상무는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인공지능이 주행 전 과정을 학습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 방식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엔드투엔드 방식은 발전 가능성이 크지만 막대한 자원과 법적·기술적 해석의 어려움이라는 한계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기술 경쟁보다는 공공성과 안전을 기반으로 한 단계적 'K자율주행 상용화 모델'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를 진행한 허재호 HL로보틱스 팀장은 "자율주행 주차로봇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도시 공간의 효율성과 이동 편의성을 동시에 높이는 새로운 모빌리티 인프라"라며 "주차 공간 부족과 교통 혼잡,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HL로보틱스는 실내외 자율주행 기술을 통해 주차장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있고 향후 스마트시티와 연계된 통합 주차 생태계를 만들어 갈 것"이라며 "주차로봇 산업은 향후 도시 모빌리티 시장의 중요한 축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