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김건희 경복궁 '왕의 의자' 앉았다… "역대 대통령도 앉은 적 없어"
김다솜 기자
공유하기
![]() |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출입 제한 중인 경복궁 근정전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2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위원장 김교흥)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은 2023년 김 여사의 경복궁 경회루 사적 방문과 관련해 강하게 질타했다.
이날 국가유산청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경복궁 상황실 관리 일지'에 따르면 김 여사는 2023년 9월12일 경복궁을 방문해 2시간 가량 머물렀다. 김 여사 일행은 휴궁일이던 당일 오후 1시35분부터 3시26분까지 협생문을 거쳐 근정전, 경회루, 흥복전을 둘러봤다.
근정전은 평소 일반에게는 공개되지 않는 장소지만, 김 여사는 이배용 전(前) 국가교육위원장,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 황성운 전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 등과 함께 들어갔다. 김 여사는 일지에서 'VIP'로 지칭됐다.
문체부 국감에서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여사와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등이 2023년 9월 경복궁 경회루를 방문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이 공개된 것을 언급하며 "김건희의 대한민국 국보 불법 침범 및 훼손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양 의원은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에게 "김 여사가 경회루에는 왜 갔느냐. 근정전 용상에는 왜 일반인이 앉았느냐. 누가 국보에 앉으라고 했느냐. 현장에 정 사장과 최응천 전 문화재청장,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있지 않았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시 대통령실 문체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했던 정 사장은 "뒤에서 수행하고 있어서 잘 모르겠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얼버무렸다.
'김 여사가 스스로 앉았느냐. 최 청장이 권유했느냐'고 계속 추궁하자 "본인이 가서 의자가 있으니까 앉지 않으셨나(한다). 계속 이동 중이었기 때문에 만약 앉아 계셨더라도 1~2분 정도"라고 답했다.
경복궁 근정전 용상은 왕이 신하들의 조회를 받거나 외국 사신을 맞는 등 중요한 행사 때 앉는 의자로 왕의 권위를 의미한다.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역대 대통령도 근정전 용상에 앉은 사례는 없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다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