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에 정비사업 침체 전망… 건설업계 '긴장'
재개발·재건축 수주 약화… 대형사 실적 하락 우려
이화랑 기자
공유하기
![]() |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도시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이 지연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건설업계에 긴장이 고도된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대형 건설업체들은 수익성 높은 수도권 정비사업 수주를 강화해 왔지만 향후 대형사의 실적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23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10·15대책으로 향후 대형 건설업체들의 수주와 매출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하반기 이후 수도권 외곽에서 미분양이 확산하자 주요 건설업체들은 분양 리스크가 낮은 서울 핵심지의 정비사업에 수주 역량을 집중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평가다.
전지훈 한국신용평가 연구위원은 "주택 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하거나 하락할 경우 최근 공사비 상승으로 사업성 이슈를 겪고 있는 정비사업 등 민간 개발사업의 진행이 지연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신평이 자사 신용등급을 보유한 건설업체 13개사의 올 2분기 영업이익률은 3.4%로 2021년 2분기(6.7%) 대비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정부는 지난 15일 수도권 집값 안정을 위해 부동산 대책을 발표,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했다. 무주택자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70%에서 40%로 낮췄고 정비사업 조합원 지위는 해외 이주 등 예외 사유가 아닌 경우 재개발 관리처분인가, 재건축 조합설립인가 후 양도할 수 없다. 재건축 조합원 1명당 분양 주택은 1채로 제한됐다.
"사업성 위기에 매출 하락 불가피"
![]() |
서울시에 따르면 투기과열지구 지정에 따라 지난 8월 말 기준 서울에서 조합원 지위 양도가 제한된 대상 가구는 총 16만가구 수준이다. 재건축 10만8387가구(139개구역), 재개발 5만577가구(75개구역)다. 조합원 자금 부담이 커지면 사업 동의율이 줄어들게 된다.
정비사업 추진 동력이 약화하면 건설업계 타격이 예상된다. 규제 대상 지역이 전국 분양·입주 예정 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불과하다. 지방 미분양 확대세로 주요 건설업체들이 수도권 핵심지의 정비사업 의존도를 높인 것이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시공능력 상위 대형 건설업체일수록 핵심지 정비사업 수주 전략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 올 3분기까지 10대 건설업체의 정비사업 수주액은 38조7155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수주(27조8702억원)보다 38.9% 증가했다. 올해 정비사업 수주액은 역대 최대 실적인 2022년(42조936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증권가도 이번 규제가 건설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한다. 배세호 iM증권 연구원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될 경우 민간 택지에도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될 수 있다"며 "서울은 분양 물량의 80% 이상이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는데 사업성이 훼손되면 사업 진척이 지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21년 이후 급격한 공사비 상승으로 정비사업의 수익성이 2020년에 비해 하락했다"며 "최근 중대재해 리스크 등으로 기업의 비용 부담이 늘어난 만큼 정비사업 수주와 착공 감소는 주택 매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화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