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철규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내 해상풍력 설치·유지보수 전용 선박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선(WTIV)은 2척, 유지보수 지원선(SOV)은 단 한 척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오세희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24일 국정감사에서 " 전용 선박 없이 해상풍력 14GW 목표는 공허한 숫자에 불과하다"며 정부의 부실한 추진 실태를 지적했다.

해상풍력 단지는 육상과 달리 바다에서 대형 터빈을 설치하고 장기간 유지보수가 요구돼 전용 선박이 필수다. 터빈을 설치하는 해상풍력 설치선(WTIV), 운용·정비를 맡는 유지보수 지원선(SOV), 인력과 자재를 수송하는 작업선(CTV)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조선 강국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해상풍력 인프라가 취약하다. 해상풍력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전용 선박이 부재해 해상풍력 터빈을 제대로 설치할 수 없다. 특히 해상풍력 전용선은 중소·중형 조선소가 주력할 수 있는 분야지만, 정부가 추진 중인 관련 사업은 '한국형 CTV 모델 개발사업'(80억원 ) 한 건뿐이라는 지적이다.

오 의원은 "대형 조선소 중심 정책이 중소·중형 조선소의 생존 기반을 위협하고 있다 "며 "중소조선소는 선수금환급보증(RG) 미발급과 일감 부족으로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 "고 지적했다 .


전문가들도 향후 인허가를 마친 해상풍력 단지에서 100척 이상의 작업선(CTV) 수요와 맞물려 8000억원의 경제효과와 2000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는데도, 여전히 관련 로드맵이 부족하다고 강조한다.

오 의원은 " 해상풍력 전용선은 재생에너지 전환과 조선산업, 지역 일자리를 살릴 핵심 기반인 만큼 외국산 선박에 의존하지 않도록 정부의 종합적 대책이 필요하다"며 " 해상풍력 전용선 수요·공급 전수조사와 국내 건조 로드맵 수립, 산업부·해수부·국토부 합동 TF 구성 , 중소조선소 지원 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