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10월28일, 다미선교회의 이장림 목사가 이날 예수의 재림과 신도의 휴거를 예언했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사진은 다미선교회의 이장림 목사. /사진=NXT, TVasia Plus '풀어파일러3'


1992년 10월28일 한국 사회는 다미선교회의 '종말 예언'으로 들끓었다. 다미선교회 이장림 목사는 예수의 재림과 신도들의 '휴거'를 예언했고 수많은 신도들은 그날을 구원의 날이라 믿었다. 수많은 신도가 생업을 포기하고 자신의 전재산을 처분한 채 약속의 시간을 기다렸지만 실제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들만의 믿음은 허망하게 무너졌다.

시한부 종말론, 나라를 뒤흔들다

휴거는 '그리스도가 재림해 믿는 자만 하늘로 들어 올리고, 지상엔 대환란을 일으킬 것'이라는 가설이다. 이 목사는 프랑스 점성술사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과 요한계시록을 뒤섞어 시한부 종말론을 만들었다. 그는 "휴거는 단 한 번뿐이며 그때 남은 자는 7년 대환난에 들어간다"고 주장했고 이는 곧 공포의 언어였다.


이 목사는 "세상 재물은 더 이상 의미 없다"며 헌금과 재산 헌납을 독려했다. 일부 신도들은 학교를 그만두거나 아파트를 팔아 재산을 헌납했다. 한 여고생은 부모가 다미선교회에 못 가게 하자 음독자살했고, 한 여성은 "임신하면 들려 올라가지 못한다"는 교리에 낙태를 택하는 등 이 목사의 주장에 영혼을 걸었다.

당연하게도 휴거는 일어나지 않았다. 자정이 지났음에도 하늘은 열리지 않았다. 예배당에는 절규와 오열만 남았다. 한밤의 믿음은 그렇게 비극으로 끝났다.

신앙은 사라지고 절망만 남다

이 목사는 예언일 이전 이미 사기 및 외환관리법 위반 혐의로 체포됐다. 신도들이 헌납한 돈을 교회 계좌가 아닌 개인 계좌로 받았던 것이 파악됐기 때문이다. 신도들이 그에게 헌납한 돈은 34억원대에 달했다. 이 목사는 징역 1년과 2만6000달러의 몰수형을 선고받았다.


이 사건은 단순한 종교 해프닝이 아니다. 거짓된 신앙이 개인의 삶을 무너뜨리고, 믿음을 사유화한 인간의 탐욕이 한 사회를 흔든 비극이었다. 정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종말론 단체의 재산 모금 행위 규제를 강화했고, 종교 사기 근절을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섰다.

그날의 '휴거'는 오지 않았다. 하지만 누군가의 순수한 신앙을 이용하는 거짓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