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서 ‘AI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SK그룹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AI가 세계 질서를 새롭게 짜는 변곡점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술 자립과 글로벌 플레이어와의 협력이라는 두 가지 축을 조화롭게 잘 가져가는 게 대한민국의 과제"라고 28일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경북 경주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AI' 환영사를 통해 "AI 기술 복잡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병목현상도 함께 발생한다"며 "빠른 적응력을 갖춘 한국이 이러한 병목을 풀어내는 테스트 베드가 될 수 있다고 자신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최 회장은 미국과 중국의 사례를 통해 AI의 파급력과 중요성을 역설했다. 최 회장은 "요새 AI를 제외하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는 상태"라며 "AI는 기업 간의 경쟁을 넘어 국가의 성장엔진으로 자리했다"고 했다. 이어 "미국은 AI 전쟁에서 승리하겠다는 전략적 목표 아래 AI 인프라를 제대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고, 중국은 4중전회·15차 5개년 계획에서 기술 자립과 내수 확대라는 두 축을 바탕으로 미래 AI 경쟁력을 강화하려 한다"고 했다.


최 회장은 국가별로 대규모 투자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투자를 하는 곳, 하지 않는 곳 간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고도 짚었다. 최 회장은 "기업 간의 격차, 나라 간의 격차, 사람 간의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질 거라고 생각한다"며 "AI도 이제는 양극화 시대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고, 각 나라와 회사가 스스로 이 파고를 넘어야 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문제 해결 방식을 언급했다. 최 회장은 "대한민국은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아주 긴밀히 협업해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민관 협력 기반의 컴퓨팅 인프라 구축 사업,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등이 기술 자립을 위한 노력"이라고 했다. 글로벌 플레이어와의 협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SK와 AWS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 오픈AI와의 스타게이트 협력은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기폭제가 되고 있다"며 "대한민국을 넘어 많은 APEC 국가들이 이 모델을 레퍼런스를 볼만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AI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병목현상은 한국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고도 자신했다. 최 회장은 "AI는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하고 진화할 것이라고 본다"며 "지금 개발 중인 AI 모델이 다른 최첨단 모델보다 비교적 떨어질지언정 효율성, 비용 경쟁력 등 모든 부문에 빠르게 접근할 것으로 예측하고, (한국이) 벤치마킹 사례가 돼서 전 세계 AI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