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서 PV5를 전시하고 내년 일본 EV 밴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사진은 기아 PV5 패신저 모델. /사진=김이재 기자


기아가 최초의 전동화 전용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앞세워 본격적인 일본 시장 진출에 나선다.

기아는 29일 일본 '도쿄 빅 사이트(Tokyo Big Sight)'에서 개최된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서 PV5을 공개하고, 내년 일본 EV(전기)밴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2030년까지 신차 판매 비중의 30%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일본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에 따라 EV 밴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에 적극 대응하고자 일본 시장 진출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기아는 지난해 일본 PBV 시장 진입을 위해 일본의 유력 종합상사 소지츠(Sojitz)와 현지 판매 계약도 체결했다. 소지츠는 자동차 판매를 비롯해 에너지, 금속, 화학, 식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B2B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기아와 소지츠는 신규 법인 '기아 PBV 재팬'을 설립하고, 현지 유통망을 활용해 '판매-서비스-운영' 전반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일본 시장 진출 첫해인 2026년 딜러 8개와 서비스센터 100개 구축을 시작으로 일본 전역에 판매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김상대 기아 PBV비즈니스사업부장 부사장은 "기아의 일본 진출은 단순한 신차 출시를 넘어 일본 사회에 새로운 모빌리티의 모습을 선보인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현지 파트너십을 활용한 PBV 사업 조기 안정화를 이뤄내, 중장기적으로 일본 사회가 직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함께 성장하는 동반자이자 신뢰받는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아는 PV5가 선택지가 제한적인 일본 전동화 상용차 시장에서 탁월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물류 증가·인력난·지역 교통 공백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PV5에는 일본 고객들의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과 라이프 스타일을 충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구조와 첨단 신기술들이 대거 적용됐다. PV5의 전기차 특화 사양인 V2L(Vehicle-to-Load) 및 V2H(Vehicle-to-Home)을 활용하면 지진 등 재난 상황에서 응급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PV5 WAV는 휠체어 탑승자가 인도에서 안전하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차 측면 승하차 방식을 적용한 모델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일본 시장에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아는 내년 PV5 패신저와 카고 모델을 일본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다. 이후 PV5 WAV, 2027년 후속 모델 PV7을 출시하는 등 일본 판매를 점진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기아는 이번 재팬 모빌리티쇼에서 '공간을 자유롭게 비즈니스를 자유자재로'를 주제로 PV5의 다양한 활용성을 부각했다.

▲편안한 승객 탑승을 위한 PV5 패신저 ▲넓은 화물 적재 공간을 갖춘 PV5 카고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에 집중한 PV5 WAV ▲캠핑 콘셉트 모델 'PV5 슈필라움 글로우캐빈(Spielraum Glow Cabin)' 등 총 4대를 전시하고 용도에 맞춰 공간 최적화가 가능한 PBV만의 장점을 강조했다.
기아는 이번 전시에서 '공간을 자유롭게 비즈니스를 자유자재로'를 주제로 PV5의 다양한 활용성을 부각했다. /사진=김이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