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경희대학교’와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가 발생한 지역의 특성을 판별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은 산학협력 과제로 LG유플러스 임직원과 경희대학교 연구원이 AI 모델 개발을 위해 회의하는 모습. /사진제공=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경희대학교와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가 발생한 지역의 특성을 판별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새롭게 개발된 AI 모델은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를 입력하면 발생 지역과 실내·외 트래픽 비중, 트래픽 발생 시간대 등의 특성을 제공한다. 기존에 학습된 패턴과 입력된 자료를 대조해 특성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아파트 단지나 지하철 등 특징이 뚜렷한 지역은 약 90% 이상의 정확도를 보인다.


각 지역의 시간대별 사용량에 맞춰 장비 가동률을 조정해 에너지 효율도 높인다.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엔 장비 출력을 조절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 출력을 높이는 방식이다.

향후 LG유플러스는 AI 모델의 정확도를 높여 자사 네트워크망 관리 시스템에 연동한다. AI가 네트워크망 전체를 관리하는 '자율 네트워크 관리 체계'(Autonomous Network) 시대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맞춤형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경희대 이동통신 연구실과의 공동 연구로 네트워크 인프라를 개선하고 고객 체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AI 모델을 확보하게 됐다"며 "새로운 AI 모델을 활용해 더 밝은 세상을 만드는 데 LG유플러스가 앞장설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