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만난 젠슨 황, 한국에 'GPU 26만장' 공급한다
삼성전자·SK·현대차·네이버 등 자사 계획에 맞는 GPU 물량 확보 기대
김미현 기자
공유하기
|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접견했다. 양측은 국내 AI 인프라 확대와 생태계 혁신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피지컬 AI' 등의 분야에서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이날 접견에서는 ▲피지컬 AI 등 핵심 분야 AI 인프라 구축 및 기술 협력 ▲AI 기술 공동연구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 등 세 가지 핵심 분야에서 협력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엔비디아는 우리나라에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을 공급하고 삼성전자·SK하이닉스를 통한 고대역폭메모리(HBM) 조달 확대를 본격 추진한다. 이 가운데 공공부문이 사용할 약 5만장을 제외한 20만장 이상이 민간에 공급된다. 삼성전자·SK·현대차·네이버 등 접견에 참석한 주요 기업들이 각 사의 AI 비전과 사업 전략에 맞춰 GPU 물량을 확보할 전망이다.
현대차는 AI 자율주행차를 포함한 피지컬 AI 기술개발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클라우드·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해 모빌리티 산업과 피지컬 AI 생태계 강화에 기여한다고 밝혔다.
SK와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GPU를 활용해 반도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등 AI 기반 제조 혁신에 적극 투자할 방침이다. 양사는 HBM 공급 확대와 차세대 반도체 협력체계 구축 등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AI 기업이 함께 하기로 했다.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AI 및 피지컬 AI 풀스택 전반에 걸쳐 역량을 갖춘 국내 기업과 엔비디아의 협업이 강화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AI 기반 혁신을 가속화하고 제조·서비스 품질과 경쟁력을 한층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