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헌 SK텔레콤 신임 사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AI 혁신의 중심, SKT AI Infra의 Now & Next'을 주제로 발표하며 향후 전략 'NEXT'를 공개했다. /사진=김성아 기자


정재헌 SK텔레콤 신임 사장이 "전국을 잇는 대규모 AI 인프라 기반을 구축하겠다"며 기술·정책·산업이 함께하는 협력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 사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AI 혁신의 중심, SKT AI Infra의 Now & Next'을 주제로 발표하며 향후 전략 'NEXT'를 공개했다. 이번 전략은 ▲AI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세 가지 방향으로 구성된다.


AI 인프라 분야와 관련해 정 사장은 "AI 데이터센터 건설과 GPU 클라우드 구축을 통해 AI 인프라 기반을 다져왔으며 이를 토대로 본격적인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1기가 규모로 확장하고, 서남권에 신규 데이터센터를 건설해 국내 인프라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Edge AI 영역으로도 인프라를 확장한다. Edge AI는 하이퍼스케일의 데이터센터나 온디바이스 AI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초저지연·저비용 수요 분야를 타겟으로 하는 통신사 고유 영역이다.

정 사장은 "울산 데이터센터 유치 이후 글로벌 기업들이 SK텔레콤의 AI 데이터센터 개발 역량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SK텔레콤은 지난 10월 OpenAI와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을 시작으로 다자간 협력 체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SK텔레콤은 전국을 연결하는 대규모 AI 인프라 기반을 갖추게 된다.


국외 인프라 확장도 추진 중이다. 현재 SK이노베이션과 협력해 베트남에서 에너지-IT 융합형 AI 데이터센터 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LNG 발전소의 냉열을 활용한 친환경·고효율 솔루션을 시험 적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 글로벌 진출도 본격화하고 있다. Amazon과는 이미 중장기 협력 기반을 구축했으며 양사의 기술력을 결합해 Edge AI 기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엔비디아 및 관계 연구기관들과 연합해 6G 이동통신 핵심 기술인 AI-RAN 공동연구도 진행 중이다.

정 사장은 "SK텔레콤은 이번에 발표한 전략을 기반으로 AI 강국 도약에 기여하는 국가대표 AI 사업자로 성장할 것"이라며 "이른 시일 내에 의미 있는 성과로 다시 뵙기를 약속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