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테랑 오승환·박병호 떠난 삼성… '박진만 리더십' 본격 시험대
최진원 기자
공유하기
삼성 라이온즈가 베테랑 선수들의 은퇴 및 방출로 인해 확 젊어지면서 박진만 감독의 '형님 리더십'이 본격 시험대에 올랐다.
삼성은 최근 베테랑 선수들과 대거 작별했다. 시즌 중 은퇴를 발표한 '끝판대장' 오승환을 비롯해 박병호, 임창민 등 주축 선수들은 정들었던 그라운드를 떠났다. 송은범과 강한울 등은 방출을 피하지 못했다.
원래 젊었던 선수단은 더 젊어졌다. 구단에 남은 80년대생은 포수 강민호(1985년생)와 투수 백정현(1987년생)과 김대우(1988년생), 외야수 김헌곤(1988년생) 등 네 명뿐이다.
1993년생인 구자욱은 주전 야수 중 강민호를 제외하면 최고참이다. 주전으로 발돋움한 김영웅과 이재현을 비롯해 핵심 불펜 이호성과 배찬승 등은 대부분 2000년대생이다. 고참 선수들이 대거 은퇴한 만큼 어린 선수들이 더 많은 기회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선수단이 어리다고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다. 때론 고참 선수들이 만들어주는 조언들이 팀을 구하기도 한다. 특히 오승환과 박병호는 현역 시절 KBO리그에 한 획을 그은 선수들이다. 평소 자기관리가 뛰어나기로 유명한 선수들이라 후배들이 잘 따르는 선배였다.
더그아웃 리더가 부족해지면서 박 감독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현역 시절 리그 최고의 유격수로 불렸던 박 감독은 은퇴 후 2017년부터 삼성에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수비코치와 작전코치, 퓨처스 감독 등을 역임한 박 감독은 2022년 감독 대행을 거쳐 정식 사령탑에 올랐다. 최근 3년 재계약에도 성공했다.
박 감독의 장점은 젊은 선수들을 아우르는 포용력에 있다. 형님 같은 리더십을 발휘하며 선수들 기를 죽이는 법이 없다. 평소 인터뷰에서도 선수들과의 소통을 강조한다.
구단도 박 감독을 "특유의 소통 리더십과 팀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지난 3년간 야수진 세대교체, 리그 최정상급 수비력을 이끌었다. 지속할 수 있는 상위권 전력을 구축한 점에 주목했다"고 평가했다. 박 감독은 더 젊어진 삼성 선수단을 이끌고 내년 시즌을 준비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최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