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착공' 물 건너갔다… 가덕도 신공항 재입찰 불투명
현대건설 철수 여파 지속… 사업 재개 불확실성 커져
이화랑 기자
공유하기
올 상반기 현대건설이 부산 가덕도 신공항 사업에서 철수한 이후 사업이 반년째 표류하면서 착공이 계획보다 1년 이상 늦어질 위기에 놓였다. 정부는 사업 좌초나 지연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입찰 조건 검토가 장기화하는 분위기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연내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검증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기존 컨소시엄 투자사인 대우건설이 새 주관사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고 롯데건설과 한화 건설부문 등이 사업 참여를 검토 중이다.
국토부 가덕도신공항건립추진단 관계자는 "입찰 절차를 재개하기 위해 각종 조건을 검토 중"이라며 "계획된 일정에 맞춰 재입찰 공고를 포함한 정상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정상화 방안에는 입찰 방식과 공사 기간 등 사업 전반의 계획이 담길 예정이다.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공사는 지난 4월28일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사업 포기로 중단됐다. 현대건설은 당시 공사 기간을 기존 84개월(7년)에서 2년 늘린 108개월(9년)로 연장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국토부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국가계약법)에 따라 거절, 사업자 재선정 절차를 밟고 있다. 국가계약법은 수의계약의 입찰 조건을 임의 변경할 수 없다고 규정한다.
당초 착공 목표는 올해 12월이었다. 업계는 연내 재입찰은 물론 사업자 선정도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초기 "가덕도 신공항 사업이 좌초되거나 지연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최종 사업자 선정이 해를 넘길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국토부 "11월 정상화 로드맵 마련"… 업계 "내년 중반에도 착공 어려울듯"
내년 상반기에도 착공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업계의 전망이 많다. 사업 참여를 계획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연말 국토부의 입찰 공고가 나온다고 해도 실제 입찰은 내년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며 "공기 등 입찰 조건을 검토한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른 건설업체 관계자도 "이번 사업은 단순 금액 경쟁이 아니라 설계를 포함된 방식으로 사전심사와 설계 기간이 필수"라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후에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를 거쳐야 하므로 올해 발주가 이뤄져도 착공은 내년 중·후반쯤에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김윤덕 국토부 장관은 지난 9월29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의 사업 정상화 로드맵과 관련해 "11월 초까지 공사 기간에 대한 가닥을 잡고 연말에 재입찰 절차를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달 13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김 장관은 "속도를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의견 조정이 더 중요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 장관은 "속도를 지나치게 내면 마찰과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기까지 넘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많다고 보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가덕도 신공항 부지는 주민 토지 보상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며 "국토부가 기본설계 용역 발주 과정에서 업계 의견뿐 아니라 주민 의견도 충분히 수렴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공사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에 신공항 건설을 위한 기반 조성 작업으로 6조원 규모의 대형 토목 공사다. 인근 해역을 매립해 272만㎡(약 82만평)의 부지를 조성한다. 네 차례 유찰 끝에 지난해 10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기존 컨소시엄 지분은 현대건설(25.5%)·대우건설(18.0%)·포스코이앤씨(13.5%) 순이다.
현대건설은 공사기간 등 입찰 조건과 관련 국토부와 의견을 조율했지만 지난 5월30일 협상을 중단, 사업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포스코이앤씨도 올해 중대재해 사고로 인프라 신규 수주를 중단하기로 하면서 컨소시엄 탈퇴를 결정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화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