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 전경. /사진제공=경남도


경상남도는 올해 3분기 도내 청년 고용률이 39.0%를 기록, 1분기 대비 3.2%p 상승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청년 고용률이 45.7%에서 45.3%로 0.4%p 하락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경남의 고용 여건 개선이 두드러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청년 실업률 역시 큰 폭으로 개선됐다. 1분기 7.9%였던 실업률은 3분기 4.2%로 감소해 전국 시도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경제활동 참여도를 반영하는 핵심 지표로, 도는 이번 하락세를 청년들의 구직 의욕 회복과 고용시장 활성화의 신호로 분석하고 있다.

다만 경남의 청년 고용률은 여전히 전국 평균에 못 미친다. 가장 큰 요인으로는 높은 대학 진학률이 지목된다. 경남의 대학 진학률은 82.9%로 전국 1위이며, 이로 인해 조기 취업 가능 인력이 감소해 노동시장 진입이 늦어지는 구조가 형성됐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도 한계 요인으로 꼽힌다. 여성과 청년층이 선호하는 직종 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해 취업 선택 폭이 좁고, 이로 인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그냥 쉬었음'으로 응답한 청년이 최근 3년간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된 취업 실패, 전공·직종 미스매치, 경력직 중심 채용, 조직문화 스트레스 등 복합적 요인이 청년들의 구직 포기를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남도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재학–졸업–재직 단계별 청년 맞춤형 고용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재학 단계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현장실습지원사업, 라이즈(RISE) 사업을 통해 실무 능력 향상을 지원한다. 졸업 단계에서는 청년 일경험(인턴)지원사업, 청년도전지원사업, 청년성장프로젝트 등으로 구직 역량을 강화한다.


재직 단계에서는 직장 적응 지원사업, 기업 채용 연계 청년일자리 사업, 청년 친화기업 지원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직장 정착과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있다.

황주연 경기도 산업인력과장은 "지방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청년이 머물고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핵심"이라며 "주거·복지·문화·일자리 등 도정 전 분야에서 청년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