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세운4구역 재개발 높이 상향과 관련해 "시뮬레이션 결과 종묘에 그늘이 생기지 않는다"고 밝혔다. 사진은 오 시장이 이날 열린 서소문빌딩 재개발사업 착공식에서 축사하는 모습. /사진=이화랑 기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 맞은편 세운4구역에 초고층 빌딩을 짓는 재개발 사업 계획과 관련해 종묘의 가치 훼손 우려 등 논란이 일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진화에 나섰다.


오 시장은 5일 서울 중구 서소문빌딩 재개발사업 착공식에 참석해 "서울시가 개발에 눈이 멀어 빌딩 높이를 높이면서 종묘를 그늘지게 한다는 일각의 오해가 있다"며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그늘이 생기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옛날부터 관공서와 문화유산 주변의 건축물은 높이 제한을 둬 권위를 이어 나가겠다는 고정관념이 있었다"며 "가치체계 정립을 위한 새로운 토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세운4구역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물 연면적 비율)을 높이는 것은 서울시민들의 세금을 아끼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높이 상향으로 발생하는 개발 이익은 세운상가 철거와 녹지 공간 조성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오 시장은 "빌딩 높이를 높이는 과정에서 거두는 경제적 이득을 세운상가를 허무는 데 필요한 종잣돈으로 쓸 것"이라며 "서울시민의 세금이 아니라 용적률 상향을 통한 잉여 자금으로 주민 이주 비용과 녹지 면적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세운4구역 개발이 종묘를 더 돋보이게 하는 일이라고도 피력했다. 종묘 앞에 폭 100m의 녹지가 남산까지 뻗어나가면서 종묘를 더 돋보이게 한다는 주장이다. 오 시장은 "문화유산을 가꾸고 보존하면서 녹지생태도시로 도심을 재창조하는 원대한 계획을 갖고 시작된 사업"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앞서 지난달 30일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을 고시하며 세운4구역의 건물 최고 높이를 기존 71.9m에서 141.9m로 두 배가량 상향했다.


이에 국가유산청은 지난 3일 "서울시가 유네스코에서 권고하는 절차를 이행하지 않고 사업 계획을 고시한 데 대해 깊은 유감"이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서울시는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높이 상향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