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올해 3분기 영업이익 '5382억원'… 전년比 16% ↑
KT그룹, 클라우드·DC·부동산·미디어 등 주요 계열사 중심 성장
양진원 기자
공유하기
KT는 올해 3분기 클라우드 및 부동산, 미디어 산업의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견조한 성과를 냈다.
KT는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7조1267억원,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6% 증가한 5382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전했다. 당기순이익은 16.2% 는 4453억원이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5조1090억원, 영업이익은 3409억원을 달성했다.
무선 사업에서 무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2025년 3분기 기준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80.7%를 차지했다.
유선 사업 매출은 전년과 비교해 1.5% 증가했다. 인터넷 사업 매출이 2.3% 늘었으며 미디어 사업은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의 합리화 영향이 이어졌으나 기업메시징과 기업인터넷 등 요인으로 전년보다 0.7% 증가했다. AI·IT 매출은 일부 사업의 구조개선과 DBO(설계·구축·운영) 사업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KT 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DC)와 AI,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AI Cloud 사업 수주가 확대되고 가산 AIDC 완공으로 신규 데이터센터가 확보되면서 DC 및 클라우드 사업 모두 안정적인 매출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KT에스테이트는 오피스와 호텔 등 임대 부문이 고르게 확대되는 등 전년과 비교해 매출이 늘었다. 호텔 부문은 숙박 수요 회복과 신규 호텔 개관 효과가 더해지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콘텐츠 자회사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편수 감소로 매출이 줄었다. KT그룹은 앞으로도 엄선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통해 품질과 화제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케이뱅크의 9월 말 기준 고객 수는 1497만명으로 지난해보다 약 300만명 늘었다. 수신 잔액은 전년 대비 38.5% 증가한 30조4000억원, 여신 잔액은 10.3% 증가한 17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와 개인정보 유출로 고객께 불편과 우려를 끼친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피해 고객 보호와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을 병행하며 지난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USIM) 무상 교체를 시행하고 있다. 정부 조사에 성실히 협조할 계획이며 네트워크 안전 확보와 고객 보호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
장민 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고객 보호 조치를 신속히 이행하는 동시에 정보보호 체계와 네트워크 관리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기반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충실히 이행해 시장 신뢰를 높이고 통신 본업과 AX 사업의 성장을 통해 지속적인 기업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양진원 기자
안녕하세요 양진원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