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원 의원 "북한 원잠 대응은 미국 의존보다 자력으로"
도산안창호급은 한계… 장기 작전 가능한 원잠 필요
김대영 기자
공유하기
"북한이 원자력잠수함을 확보하게 되면 우리도 그에 상응하는 대응 전력을 갖춰야 합니다. 단순히 미국 정보에 의존할 게 아니라 우리 스스로 추적과 정보 수집 능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의실에서 열린 '한국형 원자력추진잠수함 사업, 어떻게 추진해야 하나' 세미나 이후 질의응답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행사는 국민의힘 공부모임 '내일'이 주최했으며 한국형 원자력잠수함(원잠) 추진 필요성을 주제로 열렸다. 현장에는 유용원 의원을 비롯해 안상훈·배현진·박정훈·임종득·정성국·최은석·한지아 의원과 신상범 국방기술품질원장이 참석했다.
유 의원은 "냉전 시절 미·소 양국은 서로 상대 원잠의 소리를 녹음해 음문(音紋, 소리의 지문)을 확보했다"며 "잠수함을 식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소리"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도 북한 신형 원잠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에 의존할 수는 있겠지만 결국 스스로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김건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이 "북한 원잠을 항구 앞에서 추적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냐"고 묻자 유 의원은 "추적은 가능하다. 기존 도산안창호급은 훌륭하지만 장시간 작전에는 한계가 있다. 원잠은 장시간 잠항이 가능해 추적 임무 수행에서 훨씬 유리하다"고 답했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서울 송파갑)이 "핵탄두가 없는 상황에서 원잠의 전략 자산으로서 의미가 떨어지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자 유 의원은 "우리는 SLBM을 탑재하더라도 재래식 탄두를 사용하는 SSN(공격형 원잠) 형태로 운용할 수 있다. 북한의 핵잠수함, 중국 등 주변국 위협에 대응하는 전력으로 충분한 효용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부산 부산진구갑)은 "중국은 국책사업임에도 원잠 확보에 27년이 걸렸는데 우리 정부는 10년 이내 완성을 언급한다"고 질문했다. 이에 유 의원은 "우리는 이미 30년 가까이 기술을 축적해 왔다"며 "이제 막 시작하는 게 아닌만큼 가능한 일정"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원잠 추진 가능성에 대해서 유 의원은 "일본은 원폭 피해국이라 국민 정서상 거부감이 크지만 최근 헌법 개정 흐름 속에서 논의가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건 의원이 "무인 잠수정 시대에 유인 원잠이 낡은 기술이라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보느냐"고 묻자 유 의원은 "드론과 로봇 기술이 발전했지만 인력을 완전히 대체하긴 어렵다. 앞으로는 유인과 무인을 병행하여 운영될 것이다"라고 했다.
또 박정훈 의원이 "대형 잠수함은 필리조선소에서, 소형은 한국에서 짓는 방식의 타협 가능성이 있느냐"고 묻자 유 의원은 "미국이 강하게 고집한다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쓸 잠수함은 반드시 국내에서 만들어야 한다. 미국의 요청 사항은 필리조선소 확장과 부품 생산 참여를 통해 풀 수 있다. 그것이 양국 모두에게 윈윈이 될 것이다"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