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KoAct 미국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ETF를 상장했다. /사진=삼성액티브자산운용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KoAct 미국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ETF(상장지수펀드)를 상장한다고 11일 밝혔다. 액티브 ETF 중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으로는 국내 최초다.


해당 상품은 순자산 3000억 규모로 성장하며 국내 대표 바이오 ETF로 자리 잡은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의 미국 버전이다. 글로벌 혁신 치료제와 의료기기 산업을 이끄는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투자한다.

인수에 집중하는 빅파마보다는 유망한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을 보유해 M&A(인수합병)의 가능성이 높은 중견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비교지수 대비 초과 성과를 추구한다. 최근 5년간 대부분의 혁신 치료제는 중견∙중소형 바이오 기업에서 개발됐고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액티브 운용의 특성상 AI(인공지능) 기술과 시너지를 내면서 급부상하는 유망 기업을 빠르게 편입할 수 있다. 글로벌 AI 헬스케어 시장은 올해 약 380억달러 규모에서 2034년 약 6742억달러 규모까지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AI를 활용해 데이터 플랫폼, 바이오마커 기술 등 이미 다양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가 발전하는 상황이다. 앞으로는 신약 개발, 바이오 로봇 등 AI 헬스케어 시장이 더욱 확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한다.

조한긷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매니저는 "혁신 치료제와 의료기기를 주도하는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시장은 유망 기업에 신속하게 투자할 수 있는 액티브 운용이 유리하다"며 "임상 성공 가능성, 자본 조달 능력, 기술 경쟁력, 시장성 등을 다양하게 검토하고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기업들의 경영진과 1대1 온라인∙오프라인 회의를 통해 알파 종목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