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7조6823억원 규모 내년 예산안 편성
민생·성장·돌봄·기후 4대 전략 집중 투자
광주=정태관 기자
공유하기
광주광역시는 2026년도 본예산안 7조6823억원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올해 예산보다 780억원(1.0%)이 증가한 규모로 일반회계는 0.2% 늘어난 6조2725억원, 특별회계는 5.0% 증가한 1조4098억원으로 구성됐다.
광주시는 이번 예산은 국정과제와 연계한 지역 핵심 사업 추진과 지속 가능한 도시 성장, 시민 삶의 질 제고를 주요 목표로 '민생·성장·돌봄·기후' 4대 전략을 중심으로 효율적이고 책임 있는 재정 운용에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민생활력 분야에서는 서민경제 안정과 골목상권 회복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이 담겼다. 소상공인 특례보증자금(75억5000만원), 노란우산 가입 장려금(10억원), 사회보험료 지원(2억5000만원), 미소금융 이자 지원(2억5000만원) 등 정책자금이 확대된다.
또 디지털 상권 브랜드 육성(6억4000만원), 전통시장 현대화(12억2000만원), 공공배달앱 활성화(5억5000만원), 상생카드 발행 지원(410억원) 등 지역 상권 회복을 위한 사업이 지속 추진된다.
중소기업 지원도 강화된다. 경영안정자금(50억원), 구조고도화 자금(400억원), 수출진흥자금(30억원) 등 재정 지원과 함께 스마트공장 선도화(18억7000만원), 해외시장 진출 지원(7억2000만원)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이 병행된다.
청년 정책 역시 눈에 띈다. 청년월세 지원(79억6000만원), 주택임차보증금 이자 지원(5억원), 청년구직활동수당(50억원), 일경험드림 사업(77억원) 등이 포함돼 주거 부담 완화와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췄다.
혁신성장 부문에서는 광주를 미래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투자가 확대된다. 인공지능(AI) 2단계 AX 실증밸리 조성(73억원), 미래차 전장부품 개발 플랫폼(6억원), 차세대 배전망 테스트베드 구축(10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그린스타트업타운(41억9000만원), 창업기업 성장지원센터(103억원), 예비창업가 발굴(15억원) 사업도 추진된다.
지역혁신중심대학(RISE) 체계 구축(879억4000만원)과 글로컬대학 육성(338억원)을 통해 지역 인재 양성과 교육 혁신을 도모한다. 문화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제문화창의산업전(17억6000만원)과 제16회 광주비엔날레(54억원)도 예산에 포함됐다.
상생돌봄 분야에서는 저출생 대응과 생애주기 복지 강화가 중심이다. 손자녀가족돌보미(8억원), 다태아 출산축하금(1억6000만원), 출생가정 상생카드(20억원) 등 출산 장려책이 추진된다. 아동·청소년·장애인·노인 복지 확대와 함께 광주형 평생주택 건립(122억9000만원) 등 주거복지 강화 사업도 포함됐다.
이병철 시 기획조정실장은 "경기 회복이 더디지만 시 재정이 지역경제 회복의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며 "AI, 모빌리티, 신재생에너지 등 혁신성장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미래를 준비하는 재정 운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정태관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