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이 13일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은 배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13일 김창원 수능 출제위원장이 세종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기본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다. /사진=뉴스1


김창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위원장이 "교육 과정의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했다"고 밝혔다.


13일 뉴스1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수능 1교시 국어 영역이 시작된 이날 오전 세종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출제 기본방향 브리핑을 열고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은 배제했다"며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선택과목이 있는 영역에 대해 "과목별 난이도의 균형이 이뤄지도록 출제했다"며 "특히 수학 영역, 탐구(사회·과학·직업) 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개별 교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중심의 평가를 지향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필수로 지정된 국어와 영어의 경우 출제 범위 안에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해 출제했으며 한국사 영역은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위원장은 이번 수능 출제 경향에 대해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문제를 냈다"며 "타당도 높은 문항 출제를 위해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은 이미 출제됐던 내용일지라도 문항의 형태, 발상, 접근 방식 등을 변화시켜 출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