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 2025'가 13일 오전 10시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했다. /사진=김미현 기자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 2025'가 부산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 가운데 게임업계의 주요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지스타 2025는 13일 오전 10시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식을 열었다.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 협회장 ▲박병무 엔씨소프트 공동대표 ▲김태열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원장 ▲유병한 게임문화재단 이사장 ▲유현석 한국콘텐츠진흥원장 직무대행 ▲김태영 웹젠 대표 ▲김성회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고양시갑) ▲최재환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장▲정연욱 의원(국민의힘·부산 수영구) ▲김병규 넷마블 대표 ▲이진형 크래프톤 부사장 ▲서태건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 ▲이오상 KNN 대표이사 사장 ▲손수득 BEXCO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개막식 후 엔씨소프트, 넷마블, 크래프톤 등 지스타 출품 게임사 부스를 차례차례 둘러봤다.

올해 지스타는 참가국과 기업 구성에서 글로벌 비중이 높아져 44개국 1273개사 3269부스 규모로 열린다. 메인스폰서 엔씨소프트(엔씨)를 비롯해 구글코리아, 넷마블, 웹젠, 크래프톤, 그라비티 등이 참여한다. 이번 BTC참가사에는 Battle State Games,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세가·아틀러스, 유니티, 플레이온·워호스 스튜디오 등 글로벌 주요 개발사의 참여가 주목된다.


BTB관은 참가 기업 간 실질적인 만남과 대화를 위한 비즈니스 네트워킹 인프라를 강화했다. 이용자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네트워킹 라운지는 작년 대비 약 1.5배 확대돼 보다 쾌적하고 집중된 미팅 환경을 제공한다. 전시장 중심부에 위치한 라운지는 주요 기업 부스와의 접근성을 높이고 간단한 상담부터 심층 파트너십 논의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됐다.

300부스를 꾸린 엔씨는 ▲아이온2 ▲신더시티 ▲타임 테이커즈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 등 신작 4종을 출품했다. 미공개 신작 1종도 이번 지스타에서 최초로 밝힌다.


9년 연속 지스타에 참가한 크래프톤은 '펍지: 배틀그라운드'와 함께 신작 '팰월드 모바일' 시연 기회를 최초로 제공한다. 팰월드 모바일은 일본 게임 개발사 포켓페어의 글로벌 히트작 '팰월드' 지식재산(IP)을 기반으로 크래프톤 산하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인 펍지 스튜디오가 개발 중인 IP다. 관람객은 로켓 발사기로 팰을 사격하는 '팰 사냥 존', 인형을 던져 포획하는 '팰 포획 존'을 비롯해 인기 있는 팰 '제트래곤'과 '까부냥' 대형 조형물 앞에서 포토타임을 즐길 수 있다.

넷마블은 145대 기기를 준비해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 ▲몬길: 스타 다이브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프로젝트 이블베인 등 신작 4종을 시연한다. 내년 상반기 공개가 유력한 '솔: 인챈트'도 선보인다. 솔: 인챈트는 리니지M 개발진 중심으로 꾸려진 개발사 알트나인이 개발 중인 신작 MMORPG다. 시연 기회는 제공하지 않지만 인터랙션 미디어 아트 공간과 야외 부스에서 체험 이벤트를 진행한다.


12년 만에 복귀한 블리자드도 주목할 만하다.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디아블로' IP를 보유한 블리자드는 국내 유저들에게 친숙한 글로벌 게임사다. 블리자드는 2013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하스스톤' 등을 마지막으로 선보인 바 있다. 체험형 부스를 포함한 시연 콘텐츠로 오랫동안 기다려온 게이머들과 직접 소통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13~14일 열리는 게임 콘퍼런스 'G-CON'에서는 '내러티브'를 주제로 국내외 개발자와 영화감독이 연사로 나선다. '드래곤 퀘스트' 제작자 호리이 유지는 '드래곤 퀘스트의 창조와 유산'을 주제로 RPG 스토리텔링의 발전을 다룰 예정이다. 넷플릭스 시리즈 '굿뉴스'를 연출한 변성현 감독도 창작 방법론과 IP 확장 전략을 공유한다. '디스코 엘리시움' 창립자 로버트 쿠르비츠는 문학적 실험과 철학적 설계를 결합한 RPG의 서사를 분석한다. 이 밖에도 제니퍼 스베드버그-옌·카미야 히데키·요코 타로·마틴 클리마 등 글로벌 연사들이 강연을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