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AI팩토리 얼라이언스 전략 회의'에 참석한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사진=뉴시스


제조업 AX(AI 전환)에 국내 제조기업 대다수가 공감하지만 자금·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대규모 투자가 기반이 되는 AI 적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1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504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K-성장 시리즈, 기업의 AI 전환 실태와 개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 82.3%가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활용 측면에서도 대기업은 절반 가량이 AI를 사용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4.2%가 쓰고 있다.

제조업 AX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 중 투자 비용이 가장 큰 이유를 차지했다. 응답 기업 73.6%가 'AI 투자 비용이 부담 된다'고 답했다. 비용 부담을 호소한 비율은 대기업이 57.1%·중소기업 79.7%다. 전문 인력 채용에 대한 부담의 목소리도 컸다. 제조업 AX 핵심은 AI 전환을 위해 현장 움직임을 데이터로 바꾸고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 인력'이 필수다. 응답 기업 49.2%는 이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현재 기업들이 'AI 인재' 확보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지도 않다. 'AI 활용을 위한 전문 인력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 80.7%는 '없다'고 답했다. 인력을 충원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82.1%가 '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기업들이 AI 적용 효과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응답기업 60.6%가 AX 성과에 대한 기대를 묻는 질문에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했다.

대한상의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정부가 AX를 통한 기업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부가 일률적인 프로그램 지원보다 각 회사에 맞는 유연한 정책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AI 도입률이 낮은 기업에게는 도입 전 과정에 걸친 단계별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단순 자금이나 장비 지원이 아닌 각 단계별로 필요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AI에 대한 미래 조감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실제 데이터 축적과 활용, 인재 영입 등에 뛰어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모델 공장, 솔루션 보급 등 제조 현장에 빠르게 확산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더불어 강력한 지원, 파격적인 규제 혁신을 담은 선택과 집중의 메가 샌드박스라는 실행전략이 맞물려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