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 "한일, 저비용 사회 위해 협력… 에너지 공유 필요"
21일 '도쿄포럼 2025' 비즈니스 리더 세션… "새 자본주의 모델 마련해야"
정연 기자
공유하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한일 협력을 통한 저비용 사회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의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서 "한국과 일본은 더 빠른 이익을 추구하는 전통적 자본주의의 한계를 넘어 사회 전체 비용을 낮추는 '저비용 사회'로의 전환을 고민해야 한다"며 세 가지 협력 축을 제안했다.
최 회장이 제시한 협력 축은 ▲에너지 ▲의료 서비스 ▲스타트업이다. 최 회장은 "한국과 일본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며 "에너지를 함께 저장·공유·운용하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고령화로 급증하는 의료비 문제는 양국이 각각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중복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보험 체계가 다르더라도 일부 상호 인정 제도를 도입하면 양국의 고령층이 서로의 의료·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회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스타트업 협력을 통해 한·일 양국을 '사회 문제 해결 테스트베드'로 만들 수 있다"며 "사회 문제를 해결한 스타트업에 사회적 가치 크레딧을 부여한다면 사회 비용 절감과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접근은 한·일이 새로운 자본주의 모델을 함께 만들어가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세금 부담은 줄고, 사회는 더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비즈니스에는 더 많은 여유가 생기는 구조"라고 밝혔다.
현대 자본주의로 나아가기 위해선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최 회장은 "사회 문제가 증가하면 비용도 늘어난다"며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이어 "사회적 가치에 자발적·의욕적 두뇌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며 "어떤 주체가 정부가 해야 할 사회 문제 해결을 대신해줬다면, 그들에게 세액 공제와 같은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AI와 디지털 기술, 데이터를 통해 사회적 가치 비용이나 창출 가치를 정량화할 수 있다"며 "이제 경제 활동을 통해 얻는 재무적 이익과 사회 문제를 줄이는 사회적 가치 두 가지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한 SK의 사례도 소개했다. SK는 10년 동안 100개 이상의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성과인센티브(SPC)를 실험해왔다. 최 회장은 "사회적기업에서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연말에 측정하고, 현금으로 보상을 진행한 것"이라며 "그간의 경험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실제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도쿄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일본 도쿄대가 2019년부터 매년 공동 개최해온 국제 포럼이다. 올해 주제는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정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