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십자각 앞에서 열린 '과로사 없는 택배 만들기 시민대행진'에서 택배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전국택배노동조합,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 등이 택배 산업의 노동환경 개선을 촉구하며 시민대행진을 진행했다.

23일 뉴시스에 따르면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행사에서 택배노동자들은 '늦어도 괜찮아 과로 없는 안전한 배송' 등이 적힌 손팻말과 택배 상자를 들고 "속도보다 생명이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노동부에 쿠팡 특별근로감독을 요구하는 한편 과로사 없는 새벽배송 진행을 위한 사회적 대화와 과로사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김광석 전국택배노조 위원장은 "현장에서 많은 택배 노동자들이 다치고 목숨을 잃어가고 있다. 이제는 휴일도 없고 명절도 쉬지 못한다"며 "택배 회사들은 현장에서 누군가 죽어나가도 다른 누군가를 데려다 쓰면 된다고 생각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박석운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 공동대표도 "택배 회사들이 마음만 먹으면 과로사 없는 새벽배송을 만들 수 있다"며 "고용·임금을 줄이지 않고 택배를 끝낼 수 있는 방식을 만들기 위해 사회적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윤신 쿠팡 새벽배송 택배노동자는 "과로사 위험에 노출된 현재의 업무환경에 목숨을 맡길 수 없다"며 "기업이윤 극대화를 위해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모는 쿠팡의 부당하고 불법적인 시스템은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과로 노동으로 사망에 이른 제주 쿠팡 새벽배송 택배노동자 故오승용씨의 유족들도 참석해 발언했다.


오씨의 어머니는 "이 죽음은 우연도 개인의 불행도 아니다. 제도가 노동자를 버렸기 때문"이라며 "정부는 진상조사를 즉시 실시하고 노동자의 죽음을 끝없이 양산하는 새벽 배송 구조의 위험성을 인정하고 근본적인 제도 개혁을 실시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는 지난달 22일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이른바 '초심야 배송'을 금지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반면, 쿠팡노조와 소비자단체는 각각 일할 권리와 소비자 편익을 이유로 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