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일본과 중국 정상의 만남이 불발되면서 중일갈등이 장기화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지난 23일(현지시각)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왼쪽에서 두 번째)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오른쪽에서 두 번째). /사진=로이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중일 정상급 접촉이 불발되면서 양국의 갈등이 장기화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4일 일본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지난 22일부터 23일(이하 한국시각)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대화를 시도했으나 중국 측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한 탓에 회담이 성사되지 않았다.


요미우리 신문은 "대화를 계속해 사태 악화를 막을 생각이었으나 중국 측이 강경한 자세를 바꾸지 않아 대립은 장기화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중국이 반발하고 있는 타이완 유사시 개입 발언을 철회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중국도 주권 침해라는 강경한 입장이어서 양국 간 합의점을 찾기 어려워 보인다.

리 총리는 중국 공산당 서열 2위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최측근이다. 일본은 다카이치 총리와 리 총리가 직접 소통하면 갈등이 완화될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만남 자체가 무산되며 기회가 사라졌다.


당초 일본 정부는 외무성 중국 담당 과장을 다카이치 총리의 G20 순방길에 동행시킬 예정이었다. 그러나 중국 측은 "회담은 예정에 없다"고 거듭 밝히는 등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일본 정부 내에서는 "현시점에서 접촉은 어렵다"고 판단해 담당 과장 파견을 보류했다.

일본 정부 내에선 중국과 갈등이 장기화 될 경우 경제에 큰 타격을 받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후 일본 여행, 유학 등 자제령을 내렸다. 또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사실상 수입 금지 조치도 내렸다.


일본 데이코쿠데이터뱅크는 지난달 기준 대중 수출을 하는 일본 기업 9250개 중 수산 관련 회사는 172개다. 이들 중 다수는 중국에서 인기 있는 해삼 가공품, 가리비, 명태 등을 취급하고 있다. 중일 관계가 더 악화되고 수입 규제 범위가 확대될 경우 더 큰 타격을 받게 된다.

중국 측이 주요 광물인 희토류 수출을 제재할 경우 타격은 더욱 커진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23일 G20 정상회의 토론에서 이를 염두에 둔 듯 "중요 광물 수출관리에 국제사회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중요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은 세계 경제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각국의 협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