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특례시가 자원 재활용과 올바른 분리 배출 문화 확산을 위해 내년부터 폐목재를 유상 판매해 자원 선순환 기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고양시에서는 하루 평균 310톤 이상 생활폐기물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중 180톤은 공공소각시설에서 소각, 130톤은 수도권매립지에 매립해 왔다. 하지만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폐기물 감량을 위한 자원순환 정책이 더욱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부터 시민들이 배출한 대형폐기물 중 폐목재를 유상으로 판매해 새로운 도시 자원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폐목재는 이물질을 제거해 연소하기 쉬운 나뭇조각으로 만들면 유해가스 발생량이 적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지난해 적환장에 적재된 가구 등 대형폐기물은 23,436톤이며 그중 재활용업체에 무상으로 처리한 폐목재는 10,973톤, 약 47%에 달한다.

앞으로는 가구 등 폐목재를 유상으로 매각해 그 수익을 시 재정에 재투입하여 선순환 구조를 만들 방침이다. 현재 온비드 플랫폼을 통한 업체 선정이 진행 중이며 이후 대형폐기물 평가를 거쳐 판매 금액을 확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