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박성재에 "김혜경·김정숙 수사 왜 안되나…내 수사는 어떻게?"
김다솜 기자
공유하기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김건희 여사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간 '부정 청탁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지난 25일 뉴시스에 따르면 내란 특검팀은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를 받는 김 여사 휴대전화 내역 등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지난 24일 집행했다. 김 여사가 비교적 최근 관저에서 사용하던 휴대전화는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대통령 관저에서 확보했다.
김 여사는 지난해 5월 박 전 장관에게 '지라시' 메시지를 보냈다. 이원석 당시 검찰총장이 대통령실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자 이에 대한 항의성으로 김 여사에 대한 신속 수사를 검찰 수사팀에 지시했고, 결국 수사팀 지휘부가 교체됐다는 취지였다. 또 김 여사는 같은 달 '내 수사는 어떻게 되고 있나' '김혜경·김정숙 여사의 수사는 왜 진행이 잘 안되나'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해당 메시지를 주고받았던 시점엔 이원석 전 총장이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 수사를 위해 서울중앙지검에 전담수사팀을 구성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송경호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을 비롯해 김창진 1차장검사, 고형곤 4차장검사 등이 돌연 좌천성 인사를 받았다. 특검은 갑작스럽게 단행된 서울중앙지검 지휘라인 '물갈이 인사'의 배경에 김 여사의 영향이 미친 것은 아닌지 살펴보고 있다. 이 밖에도 특검은 박 전 장관이 창원지검으로부터 보고받은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수사보고서 등을 김 여사에게 전달한 정황도 확인하고 있다.
특검은 당시 김 여사를 둘러싼 '사법리스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 동기 중 하나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남은 수사 기간 관련 의혹을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모을 방침이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계엄 동기와 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김 여사 측은 입장문을 내고 박 전 장관이 명씨 관련 보고 내용을 김 여사에게 전달했고, 이를 무마하기 위해 검찰 지휘부가 교체됐다는 주장이 "사실이 아니다"라며 "'수사 무마용 인사'로 해석하는 것은 정치적 해석일 뿐 사실과는 무관하다. 이번 의혹은 '전달 의혹'과 '무마 의혹'을 단순히 이어 붙여 만든 가설적 서사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이어 "현재 특검 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김 여사와 변호인단은 법적 절차에 따라 성실히 대응하고 있으며 확인되지 않은 추측성 보도가 수사와 재판을 불필요하게 왜곡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다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