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위상 의원 "전기차 산업 선순환 구조, 기술 혁신만으론 완성 안 돼"
2025 전기차리더스포럼… "안전한 전기차·산업 환경·탄소중립 체계 갖춰야"
이한듬 기자
공유하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 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탈 수 있는 전기차, 기업이 지속 투자할 수 있는 산업 환경, 국가가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비로소 전기차 산업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진다"고 26일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 열린 '2025 전기차리더스포럼'에서 축사를 통해 "전기차 산업은 기술 혁신만으론 완성되지 않는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설정했다"며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K-모빌리티 글로벌 선도전략'은 급속히 변화하는 모빌리티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방향성을 담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자동차 관세 대응, 마더팩토리 구축, 자율주행 시대 준비, 세계 시장 진출 가속화와 같은 전략들은 대한민국이 미래차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준비를 본격적으로 갖춰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러한 노력은 전기차 생태계의 모든 구성요소로 기업부터 배터리, 소재·부품기업, 충전인프라, 시험·인증기관, 연구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든 부분에서 연계될 때 비로소 실질적인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2035 NDC 달성 문제를 비롯해 전기차 보조금 정책의 지속성 문제, 충전인프라 확충과 유지관리, 배터리 화재 예방을 포함한 안전성 강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혁신 등의 문제를 해법과 함께 논의하는 자리가 오늘 포럼"이라며 "이번 포럼이 전기차 산업 혁신을 위한 협력과 비전의 장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한듬 기자
머니S 산업팀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