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 1784에서 진행된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 3사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3사 경영진들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비전을 발표했다. /사진=강지호 기자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가 손잡고 AI·웹3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금융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세 회사는 27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 제2 사옥 '네이버 1784'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비전을 발표했다.


기자회견에는 이해진 네이버 의장과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직접 참석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3사 주요 경영진도 함께했다.

세 회사는 각자의 전문 분야를 결합해 AI와 블록체인을 융합한 새로운 금융 플랫폼을 구축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새로운 금융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번 협력은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을 통해 유기적으로 통합되는 형태로 추진된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서로 각자의 분야에서 잘하고 있지만 또 영역은 겹치지 않기 때문에 시너지가 극대화될 것"이라며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고 지급 결제를 넘어 금융 전반, 나아가 생활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질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AI와 웹3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융합을 시도한 것은 해외에서 사례를 찾기 어려운 매우 드문 사례"라며 "블록체인의 대중화와 생성형 AI의 발전이 맞물린 지금이야말로 성장의 가장 큰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합병 이후 첫 번째 목표로 글로벌 진출을 꼽으며 "빠르게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가 체급을 갖춰 K-핀테크 모델을 글로벌 무대에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27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 1784에서 진행된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 3사 공동 기자간담회에서 3사 경영진들이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좌측부터 박상진 Npay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송치형 두나무 회장, 오경석 두나무 대표이사. /사진=네이버


이날 이 의장도 드물게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네이버가 공룡기업이라 불리지만 실제로는 글로벌 빅테크의 100분의 1 수준"이라며 "글로벌 진출의 꿈과 사명감 때문에 합병을 택했다. 웹3 기술과 이해력을 가진 회사와 힘을 합쳐야만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합병 배경을 설명했다.

송 회장은 "블록체인 기반 금융 인프라는 낮은 비용·빠른 정산·높은 확장성이라는 장점이 있어 AI와 결합하기에 최적화된 구조"라며 "디지털 자산은 더 이상 대체 투자 수단에만 머물지 않고 이제는 송금과 결제를 넘어 투자, 자산 관리, 자본시장 등 금융 시스템 전반을 통합하는 글로벌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빅테크들이 빠르게 시장을 확장하고 있는 현재 세 회사가 시너지를 낸다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AI·금융 전반을 아우르는 초대형 거래인 만큼 독과점 우려 등 금융당국이 제기할 수 있는 규제 리스크도 남아 있다.

이에 대해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는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등 당국과 긴밀히 소통하며 필요한 절차를 충실히 이행할 예정"이라며 "시장 규모와 글로벌 전략 등을 투명하게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최 대표 역시 "가상자산과 핀테크 사업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면 규제가 늘겠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 제기된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의 합병설에 대해 최 대표는 "정해진 바 없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나스닥 상장이나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 두나무 간 구조조정 등은 현재 검토하지 않고 있다"며 "모든 의사결정은 주주 가치와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