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기재단, 조미라 교수에 6억원 규모 희귀질환 연구 지원
가톨릭의대 조 교수, 난치성 전신경화증 치료제 개발 연구
3년간 총 6억원 연구비 지원
김동욱 기자
공유하기
한미그룹 창업주 임성기 선대 회장의 신약개발에 대한 철학과 유지를 계승하기 위해 설립된 임성기재단이 희귀난치성질환 연구자에게 연간 2억원씩 3년간, 총 6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임성기재단은 지난 5월 공모한 '2025년도 희귀난치성질환 연구지원 사업' 대상자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미라 교수를 최종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조 교수는 전신경화증에서 CD38 단백질이 과발현된 면역세포와 섬유화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병증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병합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를 제안했다.
전신경화증은 피부와 장기에 비후, 경화, 염증을 일으켜 호흡부전과 심부전으로 이어지고 결국 사망에 이를 수 있는 희귀난치성질환이다. 현재 질병 경과를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치료제가 없어 환자들은 섬유화 지연 약제에만 의존하며 고통을 겪고 있다.
조 교수는 임성기재단 지원을 받아 전신경화증에서 병인을 일으키는 표적세포인 T·B 세포와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역전자 전달(RET)로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과 CD38 단백질의 주요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정상화해 염증과 섬유화 활성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심사위원회는 조 교수의 전신경화증 백신 개발과 환자 모사 시스템 구축, 미토콘드리아 이식 등 선행 연구 경험과 기존 확보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신경화증 근본 치료 연구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할 것으로 평가했다.
임성기재단은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커 연구가 필요하지만 환자 수가 적어 치료제 개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2022년부터 연간 4억원 규모의 희귀질환 분야 연구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엄정한 심사를 거쳐 지원 대상을 선정하며 재단 이사회 승인을 거쳐 확정한다.
김창수 임성기재단 이사장은 "희귀질환 치료 분야는 시간과 비용이라는 경제 논리를 극복하고 기초 연구부터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원이 이뤄져야 비로소 발전될 수 있는 분야"라며 "임성기 회장이 평생 실천한 인간 존중과 신약개발 유훈을 재단의 연구지원 사업을 통해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동욱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산업 1부 재계팀 김동욱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