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엠헬스케어, 서울대병원과 전립선암 AI 조기진단 임상 착수
임상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 완료
김성아 기자
공유하기
인공지능(AI) 기반 조기 암 진단 전문 기업 솔루엠헬스케어가 서울대학교병원이 운영하는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과 함께 전립선암 조기 진단을 위한 전향적 임상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0월16일 서울대 보라매병원 임상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 획득으로 공식 절차를 마치고 본격적인 진행에 들어갔다. 연구진은 전립선암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의 소변 내 대사체(metabolite)를 정밀 분석해 생체지표 차이를 규명하고 여기에 AI 기술을 결합해 조기 진단의 임상적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립선암은 국내 남성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전체 남성 암 발생의 14.1%를 차지한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전립선암 신규 환자 수는 2017년 대비 약 58% 증가했으며 최근 5년 동안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발생률이 증가한 암종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립선암 진단의 1차 선별검사로 널리 사용되는 전립선 특이 항원(PSA) 혈액검사는 특이도가 30~50% 수준에 그쳐 위양성률이 높다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조직검사(생검)가 빈번하게 이뤄지는 등 정확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지속적인 지적을 받아 왔다.
이 같은 문제로 인공지능 기술과 대사체 분석을 결합한 비침습적 조기진단 기술이 차세대 진단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사체는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저분자 물질로,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다른 대사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를 분석하면 혈액이나 소변 등 체액 샘플만으로도 암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솔루엠헬스케어는 이번 임상연구를 통해 AI 기반 소변 분석 조기 암 진단 플랫폼의 임상 데이터를 확보하고, 실제 의료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진단 정확도를 검증함으로써 전립선암 조기진단의 정확성과 접근성을 크게 높인다는 계획이다.
김지희 솔루엠헬스케어 대표는 "이번 임상연구는 AI 기술과 대사체 분석을 결합한 차세대 조기 암 진단 기술의 임상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전립선암뿐 아니라 조기 진단이 어려운 췌장암 등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병행 추진하고 있으며, AI·대사체 융합 기반의 비침습적 조기 암 진단 플랫폼 상용화를 단계적으로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