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부동산에 치우친 가계자산 구조로 부동산 가격 하락 시 가계부실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제공=뉴스1 양동욱 기자
국내 가계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으로 몰리면서 베이비부머들이 자산 구조를 다변화하지 않으면 노후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7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은 73.3%(2억3856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67.8%다. 전년보다 1.9%포인트 줄었지만 돈줄이 여전히 부동산에 묶여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가계자산의 부동산 몰림현상은 국제비교에서도 드러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2012년 기준)은 호주 61.3%, 유로존 58.3%, 영국 50.1%, 일본 40.9%, 미국 31.5% 등이다.
LG경제연구원이 집계한 결과 2000∼2007년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연평균 6.6%(아파트는 9.3%) 증가하며 소비자물가 상승률(3.1%)을 뛰어 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연평균 2%(아파트는 2.6%)로 둔화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3%를 고려하면 실질 매매가격이 크게 하락한 셈이다.
60세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실질가격)은 2006년 2억70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줄었다. 은퇴연령층의 보유자산 규모가 감소하면서 고령층의 소비성향도 떨어졌다. 2008년 대비 2012년 소비성향(도시 2인이상 가구 기준)은 60대 가구과 70세 이상 가구에서 각각 5.9%포인트, 6.8%포인트 줄었다. 같은 기간 30대는 1.6%포인트 증가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실물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부동산에 치우친 가계자산 구조는 부동산 가격 하락 시 가계부실이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