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모직 CI 로고 |
지난 6월, 삼성에버랜드는 제일모직의 패션사업을 추가하고 사명을 제일모직으로 변경했다. 제일모직이 그룹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기업이 돼면서 당시 투자업계에서는 삼성의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에 주목했다.
제일모직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5.10%,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제일모직 사장이 각각 8.37%,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3.72%를 각각 보유, 총수 일가 지분이 45.6%에 달한다.
이런 제일모직이 다음달 1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의 변화가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것이라는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모양새. 특히 이 부회장은 제일모직의 최대주주이기 때문에 제일모직을 지주회사로 둘 경우, 경영권 승계에 더 유리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향후 삼성이 제일모직을 지주사로 삼고 한쪽은 중간 금융지주를 설립해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금융 계열사를 지배하고 다른 쪽은 삼성전자를 통해 제조업을 지배하는 구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삼성의 지주사 전환이 적어도 3년 뒤에나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보고서에서 "삼성그룹 지배구조 변환의 핵심은 제일모직을 지주사로 만들어 3세들이 그룹을 안정적으로 지배하는 것"이라며 "지주회사 전환 이후 LG그룹처럼 지주회사를 분할함으로써 자녀들이 계열분리를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다만 몇 단계의 인적분할과 합병 없는 지주사 전환은 엄청난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향후 3~4년 동안 점진적으로 전환절차를 밟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제일모직과 같이 상장을 앞두고 있는 삼성SDS의 경우도 이 부회장이 가장 많은 지분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