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2년 열린 '2012 F1 코리아그랑프리' 결선 /사진=머니투데이DB
뉴욕타임스는 지난달 2년 연속 포물러원(F1) 대회를 개최하지 못한 영암서킷에 대해 “참혹한 실패작으로 끝났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수많은 경제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됐던 F1영암서킷은 현재 아마추어 대회만을 유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라남도는 박준영 전 지사 재임시절인 2006년 F1 그랑프리 국내대회 유치를 확정했다. 2009년 12월에는 조직위를 출범했다. 대회는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 동안 매해 열기로 했다. 유치 당시 전라남도가 제시한 경제효과는 약 5조원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통한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경주장 건설비용 4285억 원 가운데 국비를 제외한 3000억 원을 전라남도가 대고 이 가운데 1980억 원을 지방채를 발행하며 의욕적으로 대회를 추진했다. 하지만 대회는 치를 수록 적자만 발생했다. 조직위가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4년 동안 발생한 운영적자는 1902억 원에 달한다.
손실이 거듭되자 전남도는 2014년 대회 개최를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애초에 기대했던 경제효과는커녕 막대한 빚만 지역민들이 분담해야 할 처지에 놓인 것이다. 한 시민단체는 박 전 지사와 조직위 관계자들을 업무상 배임혐의로 고발하기도 했다.
◆존재이유 없는 조직위… 당장 해산도 불가
F1 코리아그랑프리 대회조직위원회도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지만 해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F1 그랑프리의 상업적 권리를 보유한 포뮬러원 매니지먼트(FOM)에 F1 대회 미개최에 따른 위약금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FOM측과 협상이 마무리 되고 나서야 조직위를 해체할 수 있을 전망이다.
FOM은 전라남도에 대회를 개최하지 않은 2년 치 위약금에 해당하는 9000만 달러(약 988억 원)를 요구할 수 있다. 이 협상에서는 위약금 문제는 물론 내년 F1대회 개최여부도 안건이 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조직위 측은 FOM 본사가 있는 영국을 방문해 FOM 관계자들을 만나협상에 임하고 지난달 말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결과에 대해서는 묵묵부답인 상황이라 협상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높다.
업계에서는 영암의 F1 개최 사업은 자동차 시작부터 무리수였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F1 흥행이 실패할 것이라는 예상은 자동차 업계에서 공공연했다”며 “기업들도 이런 예상에 투자를 꺼렸다”고 전했다.
전남도는 해산 후에도 영암 코리아인터내셔널서킷은 기업에 임대하거나 동호회 주행, 스포츠 주행 테스트 장소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조직위 관계자는 "영암 서킷은 연간 280일 대여 일정이 짜여 있을 정도로 전국에서 가장 선호되는 트랙"이라며 "임대 등을 통해 운영비 이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빈 서킷 활용한 ‘궁여지책’도 난항
서킷을 활용해 고급차 부품과 튜닝시장을 선점해 기업 유치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려던 전남도의 계획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연관 사업들이 국비를 확보하지 못해 줄줄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전남도는 지난 2013년부터 ‘차부품 고급 브랜드화 연구개발사업’, ‘튜닝산업 지원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관련 부품 제조기업 100개를 유치하고 2만개에 달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에 들어가는 총 비용은 786억원으로 국비가 439억원, 도비 178억원, 민자 169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사업추진 3년째인 올 현재 국비 확보액이 166억원에 불과해 273억원이 미확보된 상태다. 이는 당초 국비 확보 계획의 38% 수준이다. 차 부품 사업은 내년이 사업 종료시점이어서 나머지 국비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계획 수정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