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생활정보미디어 사랑방이 지난 14일부터 25일까지 사랑방 홈페이지와 광주지역 구인정보사이트 사랑방 잡을 방문한 20·30대 방문자 835명을 대상으로 열정페이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0%(584명)가 열정페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열정페이 급여는 10만~30만원이 35%(203명)로 가장 많았고 ▲30만~50만원 27%(156명) ▲50만~70만원 17%(97명) ▲70만원 7%(46명)였다. ‘무보수’는 14%(82명)에 달했다.
이 근로자들이 열정페이를 감수하면서까지 일하는 이유는 ‘경험을 쌓기 위해서’가 39%(226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취업난으로 다른 구직활동이 어려워서’ 33%(195명), ‘졸업·연수 기간 조건’ 15%(89명), ‘취업시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8%(49명) 등이었다.
또 열정페이를 경험한 응답자들의 56%(325명)는 열정페이가 취업·진로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도움이 안 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44%(259명)였다.
열정페이의 존속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58%(485명)가 ‘반드시 없어져야 할 악폐습’이라고 응답했다. ‘안 좋은 관습이지만 어쩔 수 없다’ 20%(164명), ‘일을 배울 수 있다면 도움이 된다’ 19%(157명),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3%(24명)였다.
열정페이가 고용인과 피고용인 모두에게 득이 되는 윈윈페이가 되기 위해 가장 먼저 개선돼야 할 것으로 응답자의 27%(225명)가 ‘관련 법안·처벌 기준 강화’를 꼽았다. 이어 ‘열정을 투자한 만큼 제대로된 교육’ 22%(177명), 사회적 분위기’ 21%(174명), ‘확실한 채용 혜택’ 17%(144명), ‘최저임금 보장’ 13%(111명) 순이었다.
한편 올해부터 정부가 열정페이 근절을 위해 시행에 들어간 ‘인턴 보호 가이드라인’에 대해 응답자의 44%(368명)가 ‘모른다’고 응답했다. ‘들어보긴 했으나 자세히 모른다’가 29%(239명)였고 ‘알고 있다’는 응답은 27%(228명)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